-
日 일본암호화폐거래소협회(JCBA), 스테이블 코인 소위원회 설립 외 암호화폐·가상통화 뉴스와이어 [블록체인 외신 뉴스브리핑]
日 일본암호화폐거래소협회(JCBA), 스테이블 코인 소위원회 설립 외 암호화폐·가상통화 뉴스와이어 [블록체인 외신 뉴스브리핑] 코인코드 블록체인 외신 뉴스 브리핑▲ 페이팔, 암호화폐 거래서비스 출시...공급업체로 ‘팍소스’ 선정글로벌 결제서비스 기업 페이팔(PayPal)이 독자적인 암호화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블록체인 기업 팍소스(Paxos)와 제휴했다고 코인포스트가 7월 20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페이팔이 팍소스를 공급업체로 선정했고 이르면 이번 주 내로 공식 발표 될 예정이다. 팍소스는 기관투자자 대신 금이나 비트코인 등의 자산을 합법적으로 보관할 수 있는 허가받은 커스터디 업체다. 기업은 지난주 리볼루트US를 최초의 클라이언트로 유치하고 크립토 브로커리지(Crypto Brokerage)를 출시했다. 팍소스 크립토 브로커리지는 규제 및 기술적인 문제를 모두 처리해 주는 API 기반 중개서비스이다. 또한 사용자가 규제를 준수하면서 암호화폐를 매입·매도·보유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팍소스 CEO 찰스 카스카릴라(Charles Cascarilla)는 “크립토 브로커리지는 암호화폐 보급을 위한 큰 전환점이 될 수 있다”며, “신규 고객을 유치하기 위해 독자적인 내부 거래소 itBit를 확대 할 준비도 하고 있다”고 전했다.(大手決済企業PayPalが独自の仮想通貨サービスを開始するため、ニューヨーク州金融当局(NYDFS)の認可(ビットライセンス)を有するステーブルコイン発行企業Paxosと提携した。)▲ 암호화폐 커스터디 서비스 투자 금액 ‘1조 9290억원’2012년부터 2020년까지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한 통계 결과에 따르면 암호화폐 커스터디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에 총 46건, 약 16억 달러(1조 9290억원) 가량이 투자되었다고 더블록이 7월 1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그 중 52%에 상당하는 24건이 VC(벤처캐피탈)가 지원하는 초기 단계에 있는 기업이며 평균 투자 규모는 약 1570만 달러(약 189억원)에 달했다. 2018년 합계 7억 300만 달러(약 8474억원)으로 가장 많은 투자가 진행되었으며 2020년은 현재까지 4억 1900만 달러(약 5050억원)이 투자되었다.(Between 2012 to 2020, $ 1.6 billion was invested over 46 deals in companies that offer institutional-focused custody services for cryptocurrencies.)▲ 바이낸스 12번째 BNB 소각, 현재까지 729억원 규모 상당 소각해...암호화폐 거래소 바이낸스가 최근 12번째 소각을 발표했다고 디크립트가 7월 1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BNB의 소각 금액은 총 6050만 달러(약 729억원) 상당으로 바이낸스의 따르면 사상 최대 규모의 코인 소각이라고 한다. 코인 소각은 바이낸스의 교환 매체로 사용되는 이더리움 기반의 ERC-20 토큰인 바이낸스코인(BNB)이며 3,477,388 BNB를 소각했다. 소각은 바이낸스 거래소 3주년에 이뤄졌다. 12번째 소각은 거래소가 공급량을 1억 코인으로 현재 코인을 절반으로 줄이겠다는 전략의 일환이다. 바이낸스의 분기별 코인 소각은 공급을 줄이고 토큰 가격을 올리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바이낸스는 백서에서 소각의 경우 수익의 20%를 공개시장에서 바이낸스 코인을 구입해 공급량의 최대 50%까지 소각하는 데 사용한다고 밝혔다.(Cryptocurrency exchange Binance on Friday announced its biggest ever coin burn—removing $60.5 million worth of BNB from circulation. )▲ 日 일본암호화폐거래소협회(JCBA), 스테이블 코인 소위원회 설립일본암호화폐거래소협회(JCBA)가 스테이블코인 소위원회를 신설했다고 브레이브뉴코인이 7월 1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스테이블코인 소위원회에는 39개 회원사 69명이 참석했다. 정규위원으로는 머니파트너스, 비트포인트재팬, 코인체크, 라쿠텐 월렛, 비트뱅크, 비트플라이어, OKcoin, 후오비재팬 등이 참여한다. 스테이블코인 소위원회는 스테이블코인의 법률적 사안의 명확화, 자산인식 등 운영적 관점, 물가안정 메커니즘에 대한 신뢰의 관점 등에서 이슈를 논의하고 사용자 보호와 AML/CFT(자금세탁방지/테러자금조달방지)에 대해 조치를 취할 예정이다. 스테이블코인 소위원회는 “암호화폐 관련 사업자에게 도움이 되는 사업 환경을 조성해 일본 내 암호화폐 사업의 건전한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노력하겠다”는 뜻을 밝혔다.(The Japan Cryptoasset Business Association (JCBA) has created a Stablecoin Subcommittee to develop an understanding of the potential risks and benefits of stablecoins)▲ 비트우다, 중국 비트코인 채굴 점유율 50%로 감소...채굴 분산화 되고 있어핀테크 기업 비트우다(BitOoda)가 비트코인 마이닝에 관한 리포트에서 중국이 비트코인 마이닝 산업에서 전세계 시장 점유율 50%를 보유하고 있다고 코인포스트가 7월 18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중국이 비트코인 채굴 점유율을 50%이상 보유하고 있다고 전했다. 비트우다는 “중국은 그동안 해시레이트 비중을 60~65%로 유지했으나 최근 해시레이트 비중이 10% 이상 감소했다”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국의 비트코인 해시레이트 비중은 여전히 세계에서 가장 높은 편“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이 전체의 50%, 미국이 14% 이어 캐나다, 카자흐스탄, 러시아, 이란 등 4개국이 7~8%가량 점유율을 갖고 있는 것으로 추정됐다. 비트우다는 중국 다음으로 미국이 14%로 가장 높지만 중국과의 격차는 여전히 큰 편임을 언급하고 반면 비트코인 채굴은 점점 분산화 되고 있다는 점도 덧붙였다.(フィンテック企業のBitOodaがビットコインのマイニングに関するレポートを公開した。)(The Japan Cryptoasset Business Association (JCBA) has created a Stablecoin Subcommittee to develop an understanding of the potential risks and benefits of stablecoins)[코인코드 제공/블록체인밸리 편집]
ⓒ 4차산업혁명의 중심기술 블록체인밸리(Blockchain Valley), 블록타임스TV
-
SBI 리플 아시아(SBI Ripple Asia), 올해 리플(XRP) 송금 플랫폼 준비 외 암호화폐·가상통화 뉴스와이어 [블록체인 외신 뉴스브리핑]
SBI 리플 아시아(SBI Ripple Asia), 올해 리플(XRP) 송금 플랫폼 준비 외 암호화폐·가상통화 뉴스와이어 [블록체인 외신 뉴스브리핑] 코인코드 블록체인 외신 뉴스 브리핑▲ 美 SEC 위원장 교체되나? 암호화폐 규제 및 전망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위원장인 제이 클레이튼(Jay Clayton)을 뉴욕 남부지검장으로 지명할 것이라는 소식이 전해지며 미국의 암호화폐 규제 영역에서 큰 변화가 일어날 가능성이 부상했다고 코인포스트가 6월 20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클레이튼 SEC 위원장은 블록체인에 대해 호의적인 의견을 보여왔지만 비트코인 상장지수펀드(ETF) 출시, ICO(암호화폐공개) 등 암호화폐 규제에 대해서는 강경한 입장을 고수해왔다. 이에 갤럭시디지털의 CEO인 마이크 노보그라츠(Mike Novogratz)는 클레이튼의 사임 소식에 “비트코인엔 호재가 될 것”이라며, “비트코인 ETF 출시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언급했다. 한편, 클레이튼의 뉴욕주 남부를 통괄하는 현 검찰 ‘제프리 S. 버먼(Geoffrey S. Berman)’은 공식 SNS에서 사임을 부정하고 있으며 미국 CNN에 따르면, 윌리엄 바 법무부 장관은 버먼 검사가 현재 진행 중인 트럼프 대통령 선거캠프에 대한 수사를 중단시키기 위해 일방적으로 사임시키려 하고 있다고 보도했다.(米国の仮想通貨規制領域で大きな変化が起きる可能性が浮上。)▲ 싱가포르 중앙은행, 중국과 CBDC 협력 방안 모색 중싱가포르 통화당국(MAS)이 중국과 중앙은행 디지털 통화(CBDC) 도입을 위한 협력 방안을 모색 중이라고 6월 20일(현지시간) 코인텔레그래프가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싱가포르 통화당국의 라비 메논(Ravi Menon) 이사는 중국 상하이에서 열린 금융 포럼에 참석해 “중국과 디지털 통화 관련 협력을 할 준비가 돼 있다”고 전했다. 또한 메논 이사는 “이번 CBDC 프로젝트의 목표는 국경 간 결제에서 발생하는 비용 절감하고 처리 시작을 단축하며 보안을 확보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싱가포르는 2016년 말부터 블록체인 기반의 은행 간 결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달 초 중국은 중국 위안, 한국 원화, 일본 엔화 및 홍콩 달러를 연동하는 동아시아 디지털 통화를 구축하자고 제안한 바 있다.(Singapore's central bank and financial regulatory authority is looking to cooperate with China in the field of central bank digital money.)▲ SBI 리플 아시아(SBI Ripple Asia), 올해 리플(XRP) 송금 플랫폼 준비일본 금융 대기업 SBI 홀딩스와 리플의 합작회사인 SBI 리플 아시아(SBI Ripple Asia)가 올해 ODL로 알려진 XRP 송금 플랫폼을 출시하기 위해 준비 중이라고 데일리호들이 6월 2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SBI 리플 아시아의 대표 아담 트레이드먼(Adam Traidman)은 “현재 테스트 중이며 몇 개월 이내에 출시를 전망하고 있다”고 발표했으며 “SBI 리플 아시아는 현재, ODL(구 xRapid)에서의 제한된 테스트와 파일럿 프로젝트를 여러 기업과 함께 진행하고 있고 매우 순조롭다”고 전했다. 또한 트레이드먼은 “올해초부터 내년초까지 광범위한 상용화가 될 전망이며, 앞으로 프리펀드의 조건으로 제한돼 있던 송금기업에는 보다 융통성 있는 서비스를 제공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A joint venture from financial titan SBI Holdings and Ripple is gearing up to launch the XRP remittance platform known as ODL in Asia this year.)▲ 바이낸스, 비자(VISA)카드 이용한 암호화폐 구입 서비스 180여개국으로 확대암호화폐 거래소 바이낸스가 비자(VISA)카드를 이용한 암호화폐 직접 구입 서비스를 전세계로 확대한다고 6월 19일(현지시간)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발표했다. 발표에 따르면 바이낸스는 비트코인(BTC), 바이낸스코인(BNB), 이더리움(ETH), 리플(XRP), 테더(USDT) 등 주요 암호화폐를 구입할 수 있는 서비스를 180여개국에서 제공한다고 밝혔다. 바이낸스는 이미 유럽, 러시아, 북미, 남미지역에서는 이 서비스를 제공해왔으며 아시아, 중동, 아프리카 지역 사용자들은 이번주부터 서비스 이용이 가능하다. 바이낸스는 지난해 10월 서울중앙지방법원에서 바이낸스 유한회사(Binance LTD) 법인 등록을 마쳤으며 1월, 5억100백만원의 자본금 내역이 바이낸스 유한회사 법인등기에 기재됐다.(Binance users around the world can now directly Buy Crypto via a Visa credit or debit card.)[코인코드 제공/블록체인밸리 편집]
ⓒ 4차산업혁명의 중심기술 블록체인밸리(Blockchain Valley), 블록타임스TV
-
정상호 델리오 대표, 가상자산 금융서비스..디파이(Defi) 클라우드 서비스 런칭
정상호 델리오 대표, 가상자산 금융서비스..디파이(Defi) 클라우드 서비스 런칭- 암호화폐 등 가상자산 렌딩, 예치 서비스 손쉽게 구축 가능- 클라우드 서비스로 가상자산 금융서비스 확대크립토 파이낸스 전문기업 델리오(대표 정상호)가 암호화폐 렌딩 및 예치 등 가상자산을 활용한 디파이(Defi) 서비스를 손쉽게 구축할 수 있도록 하는 ‘델리오 클라우드’ 본격 런칭했다.델리오 클라우드(delio cloud)는 암호화폐 거래소, 지갑, 자산운용사 등의 사업자들이 쉽게 가상자산 디파이 서비스를 구축할 수 있도록 해준다. 거래소와 같은 가상자산 금융 사업자가 델리오 클라우드 도입 시 ▲쉽고 빠른 렌딩 및 예치 서비스 구축 ▲렌딩 시 필요한 자금 확보 ▲렌딩금 입금에 따른 예치량 증가 및 외부자산 유입으로 인한 유동성 확대 ▲통합 관제를 통한 안정적인 자금운용 ▲사업자 수익쉐어에 따른 부가수익 창출 ▲가상자산 규제이슈 해소(Regulation risk) ▲담보물과 렌딩물 설정에 따른 다양한 투자기회 제공 ▲BP로 가상자산 디파이(defi) 연합생태계 참여 등의 장점이 있다고 밝혔다.특히 델리오 클라우드는 도입이 간편하고 빠르며, 별도의 회원가입 없이 기존 거래소 아이디로 렌딩, 예치 등의 서비스를 받을 수 있으며 데이터 유실방지(Data Loss Prevention. DLP)와 신원확인 및 접근제어 관리(Identity and Access Management)를 통해 보안성을 강화하였다고 밝혔다.현재 델리오 서비스는 빗썸 거래소를 통해 제공되고 있으며, 실제로 빗썸 회원들은 빗썸 회원 아이디로 델리오의 렌딩 및 예치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 델리오 이용시 담보물을 델리오에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빗썸 거래소에 보관, 회원 본인 지갑에서 직접 확인할 수 있어 이용자들의 호평을 이끌어 내고 있다.델리오 정상호 대표는 “델리오 클라우드는 프로그램 및 스마트컨트렉트를 통해 렌딩 프로세스의 자동화를 구현, 신청부터 대출금 입금까지 빠르고 안전하게 처리가 가능하다”며 “가상자산 서비스에 대한 기업들의 니즈(needs)가 높아져 가는 상황에서 가산자산 렌딩 및 예치 분야에서 선도기업인 델리오가 선보인 디파이 클라우드 서비스가 그 솔루션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최근 암호화폐 시장은 디파이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확장되는 추세다. 디파이 정보제공 플랫폼 디파이 펄스에 따르면 디파이 프로토콜 락업 가치는 20억 달러(2조4천억원)을 넘어섰으며 코인원, 코인베이스, 바이낸스, 비트렉스 등 대형거래소들은 앞다투어 컴파운드(COMP) 토큰을 상장하고 있다.
ⓒ 4차산업혁명의 중심기술 블록체인밸리(Blockchain Valley), 블록타임스TV
-
미터, 코박 토큰 세일 프로젝트로 선정
미터, 코박 토큰 세일 프로젝트로 선정전기료 연동 차세대 스테이블 코인 미터(Meter)가 국내 암호화폐 커뮤니티 코박의 토큰 세일 프로젝트로 선정되었다고 밝혔다. 미터는 가치 변동이 안정적인 달러나 금 등을 기반으로 하는 대부분의 스테이블 코인과 달리, 10키로와트(kW)에 연동된 스테이블 코인으로 글로벌 통화 시스템을 구축하여 분산형 금융(DeFi)을 실현하는 프로젝트다. 미터 지분 증명 방식이 아닌 작업 증명 방식을 채택하여 탈중앙화를 지향하며, 전기료에 연동된 스테이블 코인 MTR와 거버넌스에서 사용되는 코인 MTRG로 나뉜다. 이 중 거버넌스 코인인 MTRG에 대한 토큰 세일이 코박에서 오는 14일 진행될 예정이다. 미터는 코박 토큰 세일에 앞서 중국계 거래소인 게이트 아이오 거래소를 통해 스타트업 상장 프로그램으로 자금 모집을 진행하며, 코박 세일 이후에는 STP 네트워크의 마이크로 토큰 오퍼링(MTO) 이벤트도 진행된다.미터의 창립자인 쟈우한 주(Xiaohan Zhu)는 “차세대 스테이블 코인 기반 디파이 인프라 구축을 목표로 한 미터의 첫 번째 단추를 코박과 함께 하게 되어 기쁘다”며 “게이트 거래소를 시작으로 코박, STP 네트워크와 함께 미터의 비전을 알리고 저변을 확대하기를 기대하고 있다.”고 전했다.
ⓒ 4차산업혁명의 중심기술 블록체인밸리(Blockchain Valley), 블록타임스TV
-
플라이빗, 토큰 중개 플랫폼 Flybit WoW(플라이빗 와우) 론칭
플라이빗, 토큰 중개 플랫폼 Flybit WoW(플라이빗 와우) 론칭 - 전 세계적으로 잠재력 높은 프로젝트 팀의 토큰을 ITE 플랫폼을 통해 공개할 예정- 엄격한 심사 프로세스 도입 및 철저한 검증 절차 등 신뢰도 높은 서비스 제공가상자산 거래 플랫폼 플라이빗(Flybit)의 운영사 한국디지털거래소(대표 김석진, 이하 플라이빗)가 안정적인 프로세스 및 생태계 구축을 위한 토큰 중개 플랫폼(Initial Token Escrow) 브랜드 Flybit WoW(플라이빗 와우)를 7월 초 출시할 예정이라고 29일 밝혔다. Flybit WoW(플라이빗 와우)는 누가 봐도 입에서 “WoW”하는 소리가 나올 정도로 잠재 가치가 높은 유망 토큰들을 선보이겠다는 전략과 함께 슬로건 ‘Fly me to the moon’을 공개했다. 가상자산의 비상을 기원하는 의미로 플랫폼 브랜드 이미지를 확립하고 긍정적인 투자 문화의 변화를 선도해 나가겠다는 의지를 담고 있다.새롭게 론칭하는 토큰 중개 플랫폼 Flybit WoW(플라이빗 와우)는 판매자(프로젝트 재단)와 구매자(투자자)가 안전하게 구매하고, 거래할 수 있는 애스크로 방식의 플랫폼을 제공하고자 기획됐다. 투자자 보호를 위해 판매 기간 중 프로젝트에 중대한 문제가 생길 경우 토큰 판매를 중단하고, 진위 여부를 직접 확인한다. 만일 의혹이 사실로 확인되면, 투자자에게 판매한 토큰은 전액 환불된다.이는 기존 플랫폼과 달리 토큰 판매자와 구매자를 연결시켜주는 중개 플랫폼(Initial Token Escrow, ITE)으로써 포지셔닝하고 전 세계적으로 잠재력이 높은 프로젝트 팀의 토큰들을 ITE플랫폼인 Flybit WoW(플라이빗 와우)를 통해 공개하여 브랜드 가치를 드높이기 위함이다. 또한, 탄탄한 이력을 바탕으로 새롭게 조직한 부서(Business Development, BD)를 기반으로 엄격한 심사 프로세스, 비즈니스 모델의 타당성, 유사 서비스 대비 경쟁적 우위, 지배구조의 투명도 등 철저한 검증 절차를 거쳐 토큰 심사를 진행할 예정이며, 긍정적인 요소들로 신뢰도를 높일 수 있도록 집중한다.오세경 플라이빗 마케팅 총괄 이사(CMO)는 “토큰 판매자와 구매자를 안전하게 연결해 줄 수 있는 Flybit WoW(플라이빗 와우)가 실투자자 및 업계의 뜨거운 관심을 받길 기대한다”며 “앞으로 토큰 중개 플랫폼의 신규 브랜딩과 함께 성장 가능성이 높은 토큰을 다양한 파트너 채널을 활용해 발굴할 수 있게 되길 기대한다”고 덧붙였다.한편, 플라이빗(Flybit)은 현재 서비스기획, CS, 컴플라이언스 등에 대한 신규/경력 인력 채용을 상시 채용으로 전환해 부문별 직무 적합성을 기준으로 면접을 진행할 계획이다.
-
미디움, 고성능 하드웨어 블록체인 솔루션 관련 ‘홈페이지 리뉴얼’ 오픈
미디움, 고성능 하드웨어 블록체인 솔루션 관련 ‘홈페이지 리뉴얼’ 오픈고성능 블록체인 전문기업 미디움이 무서운 속도로 진화를 거듭하고 있다.미디움은 지난달 고성능 하드웨어 블록체인 솔루션 MDL(Medium Distributed Ledger)의 제품화에 성공하며 독자적 기술력의 가능성을 현실로 만들었고, 최근 홈페이지 리뉴얼을 통해 이를 공개했다.미디움에 따르면 그동안 온라인 포털과 지면을 통해 공개되었던 고성능 블록체인 솔루션 MDL의 상세 콘텐츠가 추가되면서 대대적인 홈페이지 리뉴얼이 단행되었고, 지난 18일 개편된 홈페이지를 오픈했다.이번 리뉴얼 홈페이지의 가장 눈에 띄는 변화는 현존 유일한 처리속도인 30,000TPS의 MDL 3.0와 50,000TPS의 MDL 5.0 라인업의 상세 콘텐츠가 공개되며 지난해까지 컨셉 단계였던 미디움의 초고속 블록체인 가속기술이 실체를 드러낸 점이다.이 기술은 기업형 블록체인에 가장 보편화된 하이퍼레저 패브릭(Hyperledger Fabric)을 기반으로 핵심 소프트웨어 기술(MxP, Medium blockchain express engine)의 최적화를 통해 블록체인 코어기술의 고성능을 구현했다.여기에 미디움의 독자적 가속기술로 제작된 블록체인 전용 하드웨어 MBPU(Medium Blockchain Processing Unit)의 가속이 더해지며, MDL 시리즈는 방대한양의 블록체인 데이터 연산처리에 특화된 초고속 처리성능을 구현한다. MDL3.0 라인업은 지난 5월 출시되어 다양한 산업분야의 납품을 눈앞에 두고있으며, MDL 5.0라인은 금년말 출시예정이다.미디움 관계자는 이에 "기존의 블록체인 사이트들이 비지니스 컨셉이나 기술적인 눈에 보이지 않는 부분을 설명했다면 이번 리뉴얼 홈페이지는 전세계 최초 SW+HW블록체인을 컨셉으로 제품의 외관과 기술적 아키텍처를 포함한 핵심기술의 표현에 주력했다”며, “마우스 스크롤에 따라 제품의 움직임이 보이며 설명하여 마치 한편의 광고를 보는 것 같은 메인페이지 역시 다른 블록체인기업 사이트와 차별화된 요소다"라고 전했다.미디움은 또한 이번 리뉴얼을 통해 본격적인 블록체인 비즈니스 활성화를 위해 진행중인 글로벌 파트너십을 추가로 공개하고 나아가 고성능 블록체인 플랫폼, 클라우드 서비스의 비전을 함께 제시했다.미디움 관계자는 "오피스 분야의 실질적 블록체인부터 공공, 서비스, 의료분야까지 고성능 블록체인 상용화를 위한 프로젝트가 조금씩 결실을 맺고 있는 만큼, 홈페이지를 통해 다양한 고객사들과 더욱 긴밀한 소통을 계획하고 있다"며, "더욱 다양한 글로벌 파트너들과 협업모델의 성과들이 보여지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한편, 미디움의 리뉴얼 홈페이지에는 최근 개발된 블록체인 개발지원도구 MDLX(MDL eXperience)의 오픈베타 이벤트가 15일부터 보름간 진행된다. 이 이벤트는 7월 정식 출시를 앞둔 MDLX의 사용성과 편의성 개선을 목적으로 진행되며, 미디움은 사용자가 직접 경험해보고 제출한 피드백을 통해 더욱 진화된 블록체인 개발지원도구를 제공할 예정이다.
-
코박, 프라이빗 세일 서비스 코박 블랙의 첫 번째 파트너로 아바랩스 선정
코박, 프라이빗 세일 서비스 코박 블랙의 첫 번째 파트너로 아바랩스 선정 -코넬대 연구진이 이끄는 블록체인 기반 금융 플랫폼 아바랩스-코박 블랙 회원을 대상으로 투자 설명회 개최 예정 국내 최대 디지털 자산 커뮤니티 코박(Cobak)이 프라이빗 토큰 판매 서비스인 코박 블랙의 첫 번째 프로젝트로 아바랩스(AVA Labs)를 선정했다고 밝혔다. 코박 블랙은 자산 5억원 이상 혹은 연소득 1억원 이상 증빙 가능한 전문 투자자를 회원으로 모집하여 프라이빗 토큰 투자 기회를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코박 블랙은 지난 4월 20일 공개되어 블랙 회원 가입을 위한 심사 및 모집이 진행 중이다. 코박은 코박 블랙 서비스 출시 전 2018년부터 간편 구매 서비스를 통해 , 썬더 코어, 오리고, 스핀 프로토콜 등 다양한 프로젝트의 ICO를 진행한 바 있다. 아바랩스는 세계적인 분산원장기술 전문가이자 ‘세계 블록체인 업계를 이끄는 33인’에 선정된 코넬대학교 컴퓨터공학과 에민 군 시러(Emin Gün Sirer) 교수와 나사(NASA), 페이스북(Facebook),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등의 경력을 보유한 코넬대 연구원들이 공동 설립한 블록체인 스타트업이다. 아바랩스는 비자(VISA), 마스터카드(MasterCard)에 필적하는 거래 처리 속도와 수천~수만 개의 노드로 확장 가능한 고성능 아발란체(Avalanche)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다양한 맞춤형 블록체인 및 디지털 자산을 발행할 수 있는 아바(AVA) 플랫폼을 개발하고 있다. 코박은 아바랩스 토큰 세일과 관련하여 블랙 회원을 대상으로 아바랩스 관련 설명회를 진행할 계획이며, 해당 설명회를 통해 자세한 정보를 공개하겠다고 밝혔다. 코박의 이민준 디렉터는 “코박 블랙을 통해 기관 투자자에게만 열렸던 프라이빗 세일을 조건을 갖춘 엄선된 투자자들에게도 공개하고, 양질의 프로젝트를 소개하여 블록체인 업계의 발전를 이어가고자 한다”며 “코박 블랙의 첫 번째 파트너 프로젝트로 선정된 아바랩스에 많은 관심을 바라며, 건전한 투자 생태계를 조성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
바이비트, 테더 무기한 계약 상품 베타버전 출시
바이비트, 테더 무기한 계약 상품 베타버전 출시 글로벌 암호화폐 파생상품 거래소 바이비트(Bybit)가 실물처럼 거래 가능한 테더(USDT) 무기한 계약 상품 베타버전을 출시했다. 바이비트는 기존 암호화폐 파생상품의 단점들을 개선하고자 출범한 글로벌 암호화폐 파생상품 거래소로, 끊임없이 사용자와 소통하고 피드백을 중시하며 플랫폼을 발전시켜왔다. 이번에 선보인 테더 무기한 계약 상품 베타버전은 이러한 바이비트의 설립의지에 맞춰 사용자 소통과 피드백을 중심으로 출시됐다. 테더 무기한 계약 상품은 암호화폐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들도 비교적 쉽게 이용할 수 있다. 이 상품은 대표적인 스테이블코인인 테더를 기준으로 수익 계산 및 정산이 이뤄진다. 기존 현물 거래와 같이 법정화폐와 비슷한 효과를 지닌 테더로 거래할 수 있어, 현물 거래에 익숙한 사용자도 비교적 쉽게 체험할 수 있다. 또 테더는 미국달러(USD)와 1:1로 연동되어 1USDT에 1달러의 가치를 지니는 비변동성이 특징이다. 따라서, 기존 암호화폐의 가격 급등락에 대응하는 헤지(hedge)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테더의 특성인 낮은 가격 변동률로 인한 강제청산 리스크도 낮출 수 있다. 기존 암호화폐보다 안전성이 뛰어나며, 빠른 해외 송금 속도와 저렴한 수수료 등의 장점은 그대로 갖춰 투자자들의 이목을 끈다. 특히 바이비트에서 25일 베타버전을 출시한 테더 무기한 계약상품은 계약 만기일이 없다. 기존의 인버스 계약(암호화폐 무기한 계약)과 달리 양방향 거래를 지원해 테더 계약 중 각기 다른 레버리지의 롱/숏 포지션을 동시에 보유할 수 있다는 것도 특징이다. 즉, 낮은 레버리지로 장기적인 롱 포지션을 보유함과 동시에 높은 레버리지의 단타성 숏 포지션 오픈이 가능하다. 테더 무기한 계약의 교차마진에서는 각 포지션의 미실현 손익을 다른 포지션의 증거금으로 사용할 수 있다. 즉 보유 중인 교차마진 포지션을 청산하지 않아도 해당 포지션의 미실현 수익을 사용하여 새로운 교차마진 포시션을 오픈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자산의 활용과 유동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편리한 기능들도 눈에 띈다. 바이비트 주문창에서 목표가와 손절가(TP/SL)를 설정할 수 있어 새로운 주문 생성 시 편리하며, ’바로 주문하기’ 기능을 활용하면 급격하게 변동하는 상황에서도 바로 시장에 진입할 수 있다. 또, 코인스왑 기능을 사용하면, 비트코인을 테더로 교환 후 거래를 진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테더링 기능을 통해 현물 가격 지수와 최대한 비슷하도록 유지해 현물거래에 익숙한 사용자도 수월하게 사용할 수 있다. 바이비트의 파생상품거래 전문가는 “마치 원화로 암호화폐를 거래하는 형태와 비슷하여 신규 사용자 또는 현물 거래에 익숙한 사용자들이 보다 쉽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면서 ” 현물거래와 달라 적응하기 어려웠던 기존 파생상품의 진입장벽을 바이비트의 테더 무기한 계약상품이 낮춰줄 것이라 예상한다”고 말했다. 한편, 바이비트는 테더 무기한 계약 신규 출시를 기념하여 플랫폼에서 다양한 이벤트를 개최할 예정이다. 테더 무기한 계약 상품 체험을 위한 다양한 에어드랍 이벤트, 바이비트의 슬로건인 Listen, Care, Improve에 맞는 피드백 이벤트 등을 기획했다. 자세한 사항은 공식 홈페이지 및 텔레그램에서 확인할 수 있다.
-
블록체인 기반 부동산 투자 서비스 엘리시아,본격 서비스 시작
블록체인 기반 부동산 투자 서비스 엘리시아,본격 서비스 시작부동산 소액투자 서비스 엘리시아(대표 임정건)가 23일 홈페이지를 전면 개편하며 본격적인 서비스를 시작한다. 엘리시아는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부동산 소유권을 유동화해 투자자들에게 지분을 유통하는 방식이다. 최소투자금액 5천원부터 누구나 소액으로 부동산에 투자할 수 있다. 부동산 지분을 매입한 투자자는 해당 부동산을 통해 발생되는 임대 수익과 매매 수익을 지분만큼 나눠 가지게 된다. 엘리시아의 부동산 소액투자 서비스는 P2P 부동산담보대출 기반의 기존 서비스들과 다르게 소유권 자체를 분할 소유하는 형태이기 때문에 손실 위험이 매우 낮다. 엘리시아는 이번 홈페이지 개편을 통해 누구나 부동산 투자를 손쉽게 할 수 있도록 상품 평가, 취득, 관리, 모니터링, 자산 판매까지의 모든 거래 활동을 블록체인 상의 하나의 플랫폼 안에 구현했다. 엘리시아는 블록체인 기술의 특징인 분산원장 기능을 통해 모든 거래와 활동을 관리·증명 하기 위해 블록체인을 활용하고 있다고 전했다. 엘리시아는 지난해 하반기 파일럿 투자상품 2건을 성공적으로 진행했다. 당시 국내외 투자자 500여명이 해당 상품 공모에 참가했다. 엘리시아 1호 상품은 서울 논현동에 위치한 원룸형 빌라에 대한 단기 투자 상품으로 상품 매입 후 3개월 뒤 매각 수익을 실현했다. 엘리시아 2호 상품은 서울 역삼동에 위치한 원룸형 빌라에 대한 장기 투자 상품으로 매각 시점은 매입일로부터 최대 2년 후다. 엘리시아는 국내외 증권 관련 법률에 따라 국내 투자 방식과 해외 투자 방식을 달리 운영한다. 해외 부동산에 대한 투자는 각 부동산 상품을 토큰화해 증권형 토큰 형태로 매매하는 방식으로 진행되고, 구매 시 약속한 수익률이 달성되면 자동으로 부동산 자산 매각이 진행된다. 국내 부동산에 대한 투자는 각 부동산 상품을 법인화해 투자자들에게 주식을 배분하는 방식으로 진행되며, 상품 운용 기간이 종료되면 해당 부동산을 매각해 수익을 실현하는 방식이다. 임정건 엘리시아 대표는 “엘리시아의 부동산 소액투자 서비스는 가장 안전한 투자자산임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일부 자산가들의 전유물이었던 부동산에 누구나 동등하게 투자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만들어졌다”며 “이번 홈페이지 개편을 통해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모든 거래활동을 투명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한편 엘리시아는 올해 상반기에 상업용 부동산 상품 론칭과 중개 서비스 베타 버전 출시를 앞두고 있다.
-
무비블록, 콘텐츠 IP 기업 엠비엘 미디어 설립 및 안홍주 대표이사 선임
무비블록, 콘텐츠 IP 기업 엠비엘 미디어 설립 및 안홍주 대표이사 선임 -유망 컨텐츠 IP 확보 및 배급 지원으로 무비블록 생태계 저변 강화-무비블록 안홍주 어드바이저가 대표 이사로 참여 블록체인 기반 영화 공유 플랫폼 무비블록(Moviebloc)이 모회사인 판도라 TV와 함께 콘텐츠 IP 개발사인 엠비엘 미디어(MBL Media) 설립했다고 19일 밝혔다. 무비블록과 판도라TV가 공동 설립한 엠비엘 미디어는 애니메이션과 영화 콘텐츠 중심의 IP 개발, 제작 및 저작권 관리를 주요 사업으로 진행하고자 설립되었다. 무비블록의 프로젝트 어드바이저로 참여했던 안홍주 고문이 엠비엘 미디어의 대표이사로 선임되었으며, 유망한 국내외 IP 개발 권한을 확보하여, 전세계 공급을 목표로 스토리, 디자인 개발 및 제작, 사업을 총괄할 예정이다. 안홍주 엠비엘 미디어 대표는 장편 애니메이션 ‘넛잡’의 총괄 프로듀서, 미국 아스트로노미컬 엔터테인먼트(Astro-Nomical Entertainment) 공동 대표 겸 프로듀서, 캐나다 툰박스 창업자 및 공동대표, KT 콘텐츠 전략/ IPTV 콘텐츠 담당 전문 임원, 홍익대/ 한양대 겸임교수 및 월트 디즈니 코리아(Walt Disney Korea) 임원을 역임한 전문가이다. 무비블록은 엠비엘 미디어 공동 설립을 통해 국내외 유망 영화 및 애니메이션 IP를 확보하여, 컨텐츠 제작 및 배급을 위한 글로벌 펀드레이징 관련 협업도 진행할 계획이다. 더불어, 양질의 IP들이 무비블록 생태계에 들어올 수 있는 컨텐츠 엑셀러레이터 및 컨설턴트의 역할도 수행할 것이라 밝혔다. 무비블록 강연경 대표는 “엠비엘 미디어 설립을 통해 우수한 작품들을 전 세계로 소개하며 블록체인으로부터 시작된 무비블록의 생태계가 영화 산업 발전에 기여하기를 기대하고 있다” 고 전했다.
-
대만 블록체인 기업 미스릴, 아시아 최대 소셜플랫폼 ‘팍토르’와 제휴 체결
대만 블록체인 기업 미스릴, 아시아 최대 소셜플랫폼 ‘팍토르’와 제휴 체결 대만의 블록체인 기업 미스릴(MITH)이 아시아 최대 소셜데이팅 플랫폼 기업 팍토르(Paktor)와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협약에 따라 양사는 독보적인 매칭 서비스 제공을 목표로 미스릴 생태계를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미스릴은 다양한 글로벌 소셜 서비스와 협업해 언제 어디서나 쉽게 사용가능한 암호화폐로서 블록체인 업계 주요 통화로 자리 잡겠다는 목표를 갖고 있다. 이번 파트너십을 시작으로 더 많은 소셜데이팅 플랫폼을 확보할 예정이다. 미스릴 관계자는 “현재 미스릴은 한국, 일본, 대만,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홍콩, 마카오 등에서 가장 빠르게 활용 사례가 늘어나고 있는 암호화폐로서, 이 지역에서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보다 더 많은 사용자를 확보하고 있다”고 밝혔다. 팍토르는 아시아에 2천만 명이 넘는 사용자를 보유하고 50억 회 이상의 매칭을 달성한 소셜 데이팅 플랫폼으로서, 한국에 ‘스와이프’라는 이름으로 2016년에 서비스를 출시했다. 2019년 대한민국 프리미엄 브랜드 대상에서 IT(소개팅 앱) 부문에 선정된 바 있다. 제프리 후앙 미스릴 대표는 “아시아 대표 소셜 데이팅 플랫폼 팍토르와 미스릴과의 만남으로 일상에서도 안전하고 유용하게 미스릴 암호화폐가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며 “미스릴은 팍토르와 협력해 사용자가 손쉽게 쓸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 말했다. 미스릴은 미스릴 토큰(MITH) 사용자를 위해 글로벌 결제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팍토르 뿐아니라 국내외 다양한 파트너와 협업하고 있다. 현재 미스릴 생태계에 가입된 플랫폼들의 사용자 규모는 약 9천만 명에 달한다. 한편, 미스릴 암호화폐는 오늘(16일)부터 ‘스와이프’ 앱 내에서 서비스 결제 및 특정 기능 잠금 해제에 사용 가능하다. Notice. '블록체인밸리 마켓 레이더'는 해당 블록체인 프로젝트의 일방적인 보도자료로 블록체인밸리의 편집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신뢰할만한 취재원 또는 보도자료를 바탕으로 구성하였으나 해당 정보의 사실이 확인되었음을 뜻하는 것은 아니며 블록체인 시장 동향 흐름을 파악하는데 참고자료로만 활용할 수 있습니다.
-
온더(Onther). 글로벌 이더리움 행사 주 연사로 참가.
온더(Onther). 글로벌 이더리움 행사 주 연사로 참가. 온더가 유럽 최대 블록체인 행사 이더씨씨(EthCC)에 주 연사로 참여했다. 이 자리에서 온더는 자사의 프로젝트 ‘토카막 네트워크’를 포함해 블록체인의 속도와 안전성을 개선하는 다양한 솔루션을 소개했다. 12일 온더는 정순형 대표가 지난 3일 블록체인 행사 EthCC에 주 연사로 참석했다고 밝혔다. EthCC는 2019년부터 매년 열리는 유럽에서 가장 큰 블록체인 컨퍼런스다. 개발자를 비롯해 투자자, 비지니스 디벨로퍼(BD)등 다양한 업계 관계자들이 모여 블록체인 생태계에 대한 논의를 나눈다. 이더리움 재단을 비롯해 컨센서스, 테조스, 노시스 등 주요 기업들이 행사 조직과 운영을 지원하고 있다. 또한 매년 블록체인밸리벤처스, PWC, idinvest파트너스 등 유수 벤처캐피탈들이 유망한 블록체인 프로젝트를 찾아 EthCC참여중이다. 금년에는 3일부터 5일까지 프랑스 파리 메종 드 뮤추얼리테에서 개최됐다. 정순형 대표는 3일 프라이버시(Privacy) 세션에 주 연사로 참가해 블록체인 상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는 방법으로 ‘토카막 네트워크’를 소개했다. 그는 “기존 블록체인은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는 과정에서 처리속도가 지연되고, 거래 수수료가 과도하게 발생하는 한계가 있다” 면서 “ 토카막 네트워크에서는 저비용으로도 처리속도를 비약적으로 신장시킬수 있다”고 말했다. 토카막 네트워크는 지난해부터 온더가 진행중인 블록체인 속도 증강 솔루션으로 튜링완전한 플라즈마 체인을 구현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이더리움의 수석 개발자인 비탈릭 부테린으로부터 “매우 흥미로운 프로젝트”라는 평을 듣고, 개발 장려금(Grant)을 받기도 했다. 정 대표는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는 또다른 방식으로 영지식 증명 기반 탈중앙거래소(zk-DEX)를 소개했다. 기존 블록체인에서는 거래당사자의 신원과 거래량이 노출될 수 있다는 한계가 있었다. 반면 zk-DEX에서는 모든 블록체인을 노트(Note)라는 방식으로 암호화 하기에 제 3자는 관련 정보를 전혀 알 수 없다. 신원 노출을 최소화 해 프라이버시 보장을 극대화 하는 셈이다. 또한 정 대표를 포함해 온더 멤버들은 EthCC에서 다수의 벤처캐피탈 들과 미팅을 진행했다. 현재까지 온더는 약 20억원 규모의 펀드레이징을 진행했으며, 이를 토대로 개발자, BD를 포함 다수의 핵심 인재를 채용할 계획이다.
-
“MEW앱에서도 RM을”… 리버마운트-뮤커넥트 공식 등록
“MEW앱에서도 RM을”… 리버마운트-뮤커넥트 공식 등록지난 3월 2일, 국내 블록체인 B2B컨소시엄 프로젝트 팀 리버마운트의 토큰 RM이 이더리움 월렛 인터페이스인 마이이더월렛 앱에 공식으로 등록되었다.이더리움(ETH) 토큰을 저장하기 위한 웹지갑 서비스 마이이더월렛(Myetherwallet, MEW)의 공식 앱버전인 MYEtherWallet Connect는 그 실용성과 편리함으로 전세계적으로 인기를 끌고 있으며, 스마트폰을 통해 MEW와 직접 쉽게 상호작용할 수 있고, 프라이빗 키(private key)와 자금도 완벽하게 제어할 수 있다마이이더월렛 웹에서는 토큰의 컨트렉트 주소를 입력만 하면 지갑 내 토큰을 조회할 수 있지만, 마이이더월렛 앱(MEWConnect)에서는 네트워크의 철저한 검수과정을 통해 토큰이 등록된다. 또한 스마트폰 기기에 하드웨어 지갑의 이점을 제공하는 MEWConnect의 기술을 통해 RM토큰을 이더리움 주소에 저장할 수 있게 되어 저축 계좌로 이용할 수 있는 만큼 전세계 수백만 유저들이 사용하고 있다.RM의 한 유저는 “예전부터 MEWConnect를 사용하고 있었는데 이번 RM토큰이 등록되며 다른 지갑을 생성할 필요 없이 기존 지갑 그대로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라며 이번 소식에 굉장히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
해시넷 행사에서 암호화폐 선호도 설문조사
해시넷 행사에서 암호화폐 선호도 설문조사 ‘2020년 해시넷 블록체인 콘퍼런스'가 지난 18일 쉐라톤 서울 디큐브시티 호텔 6층 그랜드볼룸에서 성황리에 열렸다. 이번 행사에서 해시넷은 처음으로 600명을 대상으로 ‘암호화폐 선호도’에 대한 설문조사 이벤트를 실시했다. 이번 설문조사는 오전 9시 ~ 오후 6시까지 진행되었고, 행사 참여자들이 선호하는 암호화폐가 무엇인지를 알아보자는 취지로 기획되었다. 설문지에는 3개의 질문이 담겨 있었다. 첫 번째 질문인 “가장 선호하는 글로벌 암호화폐는 무엇인가?” 에 대한 조사에 따르면, 1위 비트코인, 2위 이더리움, 3위 리플, 4위 이오스, 5위 바이낸스코인, 6위 비트코인캐시/트론, 8위 테조스, 9위 비트코인SV/테더 11위 라이트코인/메이커다오 라는 결과가 나왔다. 두 번째, “가장 선호하는 한국 암호화폐는 무엇인가?” 에 대해서는 1위 루니버스, 2위 아이콘/소다코인, 4위 클레이튼, 5위 토리움, 6위 테라/시그마체인, 8위 심버스/무비블록, 10위 코스모체인, 11위 아르고/메디블록/갭스 순으로 응답했다. 세 번째, “2020년 연말까지 비트코인의 최고가격을 얼마로 예측하고 있는가?” 질문에 대한 응답으로는 1위 1000만원-2000만원, 2위 2000만원-3000만원, 3위 3000만원-5000만원, 4위 1000만원 미만, 5위 5000만원 - 1억, 6위 3억 이상, 7위 1억 - 3억 순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해시넷은 온오프라인에서 많은 사람들을 대상으로 흥미로운 주제로 설문조사 이벤트를 실시할 예정이다. 이번 콘퍼런스는 코로나19로 인해 각종 행사들이 취소 또는 연기되고 있는 상황에도 불구하고 블록체인 개발자 및 전문가뿐만 아니라 블록체인에 관심 있는 일반인 등 약 800명이 사전등록 마쳤고, 실제 600명이 넘는 인원이 참여했다.
-
타우스블록 재단, BETVIS와 업무 협약 통한 타우스블록 인프라 확보
타우스블록 재단, BETVIS와 업무 협약 통한 타우스블록 인프라 확보 - 블록체인 기반 쇼핑몰 데이터 플랫폼 ‘타우스블록’, 중국 베트비스와 업무협약 - 중국 베트비스(BETVIS), 10년 이상 디지털 사이니지 구축 및 솔루션 기업 - 이번 협약 통해 중국 시장 진출 및 모기업 SEEYOO와의 전략적 업무 협약 기대타우스블록 재단이 블록체인 기반 쇼핑몰 데이터 플랫폼 타우스블록(TauschBloc)의 인프라 확보와 중국시장 진출을 위해, 중국의 IoT 디바이스 기업인 베트비스(BETVIS)와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19일 밝혔다. 타우스블록 재단과 전략적 업무 협약을 맺은 중국의 BETVIS는 디지털 사이니지 분야에서 10년 이상의 경험을 가지고 있는 IT 기업으로 300명 이상의 직원과 H/W 자체 제작을 위한 대규모 공장 및 솔루션 개발 기술력을 갖추고 있다. 또한 BETVIS는 현재 100개 이상의 국가에 헬스, 교육, 엔터테인먼트 등 다양한 분야의 디지털 사이니지와 솔루션을 납품하고 있으며, 중국 내에 약 100만대 이상의 디지털 사이니지를 구축 및 운영하고 있는 중견기업 Seeyoo를 모기업으로 두고 있다. 업무 협약을 통해 타우스블록은 중국 시장 진출과 빅데이터 구축을 위한 기반을 마련했고 BETVIS는 기존에 설치된 디지털 사이니지의 활용도를 높여 시장점유율을 높일 수 있어 윈윈 전략 수립이 가능하게 됐다. 이번 전략적 제휴를 기반으로 타우스블록 재단은 이후 Seeyoo와의 업무협약도 추진할 계획이다. 해당 협약이 성사되면 타우스블록은 Seeyoo가 운영하는 인프라를 통해 중국으로의 원활한 진출이 가능해지고, 기존에 설치된 디지털 사이니지를 업그레이드하여 쇼핑몰 내에서의 쇼핑 데이터뿐만 아니라 번화가, 시장, 공원 등 다양한 디지털 매체들로부터 수집되는 수많은 데이터를 통합해 서비스를 확장할 수 있다. 이에 타우스블록 재단 Michael Cha 총괄의장은 “타우스블록은 O2O 융합 쇼핑몰 블록체인으로 O2O 시장에서 빠르게 성장하는 중국시장에 매우 적합한 모델이며, 이번 중국 기업과의 업무제휴를 기반으로 더 많은 인프라 확보와 플랫폼 서비스 영역을 확장해 동남아시아에도 진출할 예정이다.”라고 전했다.
-
Trias, CertiK과 전략적 파트너십 채결
Trias, CertiK과 전략적 파트너십 채결
2월13일, Trias는 글로벌 블록체인 보안
감사 전문 기업 회사 CertiK과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블록체인 생태계에 보안
능력을 강화하고, 지속적인 발전을 보장하며, 안전과 신뢰성을 보장하는 거래생태를 함께 건립하기 위함이라고 관계자는 밝혔다.
2월13일, Trias는 글로벌 블록체인 보안
감사 전문 기업 CertiK과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블록체인 산업의 보안을
강화하기 위함이다.
Trias는 신뢰할 수 있고 믿을
수 있는 지능형 자율 시스템으로서, 모든 플랫폼 상에서 구현되는 소프트웨어들을 신뢰할 수 있게
만드는 스마트 컨트렉트(Smart Contract) 실행 환경을 구축하여, 궁극적으로는 인간이 기계를
신뢰할 수 있도록 만드는 시스템이다.
Trias의 기술적 특징은 현 사회의 3권 분립 체재를 플랫폼에
적용시켜, 각 행위 요소들을 분권화 시킨다. 이들은 스마트 컨트렉트의
실행은 담당하는 Leviatom, 보안 감사를 시행하며 각
소프트웨어의 코드적 완결성을 검사하는 Prometh, Trias 내의 계약 언어를 담당하는 MagCarta로 구분된다. 이 요소들은 각 요소를
서로 감시하고 감시 받으며 상호 간섭을 실시하여 권력을 분산시킨다.
실질적인 비즈니스 산업에
적용 측면에서는 현재 몇몇 엔터프라이즈 급 협력 등을 진행 중이다. Fuzhou/Taizhou/Chongren지방 정부 및 Soochow
Securities/China Asean Marine products exchange등 현지 회사들과 함께
실질적 문제 해결을 위한 기술 적용 부문에서 상호 협력하고 있다.
Trias는 CertiK과 전략 협력을 통해서
온 블록체인 생태계에 보안서비스를 제공하고, 블록체인 생태계의 지속적인
발전을 보장하며, 안전과 신뢰를 갖는 거래 생태를 구축할 계획이다.
CertiK에 관해
CertiK은 예일 및 콜롬비아 대학의 최고 Formal Verification 전문가와 구글, 페이스북 수석 소프트웨어
엔지니어가 함께 설립한 블록체인 스마트 컨트렉트 감사 플랫폼이다. CertiK은 자체 블록체인 공식 검증 방식을 이용여 스마트 컨트렉트 감사를 진행한다. 이를 통해 해킹에 대한 우려를
낮추고 버그가 발생하게 되면 즉각 교정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여 보안에 더욱
철저하게 대비할 수 있도록 돕는다.
-
에프엔에스벨류, 말레이시아의 최대 통신 그룹 텔레콤 말레이시아 버하드와 블록체인 보안 인증 분야 협력을 위해 계약 체결
▲ 에프엔에스벨류, 말레이시아의 최대 통신 그룹 텔레콤 말레이시아 버하드와 블록체인 보안 인증 분야 협력을 위해 계약 체결- 전략적 협력 사업을 통해 차세대 보안 서비스를 말레이시아와 아세안 시장의 주요 기업 및 공공 부문 전역으로 확대차세대 보안 인증 IT 선두 기업 ㈜에프엔에스벨류(FNS VALUE, 이하 FNSV)는 지난 1월21일 말레이시아 랑카위에서 말레이시아 최대 통신그룹인 텔레콤 말레이시아 버하드(Telekom Malaysia Berhad)그룹의 기업 및 공공 부문 비즈니스 솔루션 기업인 티엠 원(TM ONE, 이하TM ONE)과 상호협력각서(MOC)를 체결했다고 2월 6일 밝혔다. FNSV는 이번 협력각서를 통해 TM ONE이 자사의 블록체인 기반 사용자 보안 인증 솔루션인 Guardian-CCS(이하 G-CCS)의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의 독점 공급사이자 아세안(ASEAN) 지역의 전략적 파트너임을 공식 발표했다. TM ONE은 철저한 기술 검증을 통해 최종적으로 FNSV를 선택했으며, 양사는 이번 파트너십 계약을 통해 웹, 모바일, IoT와 5G 등의 다양한 기술 환경과 산업 분야에서 요구되는 차세대 인증 서비스 제공을 위해 각 분야별로 특화된 블록체인 기반의 보안 인증(Blockchain Secure Authentication, BSA) 솔루션 개발과 관련 시장 개척을 추진하고 있다. FNSV의 G-CCS 솔루션은 다자간 분산 검증 기술 특허를 기반으로 개발된 차세대 보안 인증 솔루션으로서, 자체적인 블록체인 네트워크가 가진 신뢰성과 높은 성능을 바탕으로 원천적으로 해킹이 불가능한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며, 인증 과정에서 별도의 비밀번호를 요구하지 않아 사용자 편의성 또한 극대화한 강점을 가지고 있다. 전승주 FNSV 대표이사는 “G-CCS 1.0은 사용자 친화적인 동시에 현재까지 수많은 해킹 테스트를 통해 검증된 높은 보안성을 제공한다”라며, “TM ONE과 함께 말레이시아가 블록체인 보안 인증 분야에서 아세안 중심 국가로 거듭날 수 있도록 최고의 기술력을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다토 누어 카마룰 아누아르 누루딘(Dato’ Noor Kamarul Anuar Nuruddin) 텔레콤 말레이시아 버하드 그룹 최고경영자(CEO)는 “사이버 보안은 주요 기업과 정부 분야의 최우선 추진 과제이다. FNSV와 같은 글로벌 수준의 보안 기업과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통해 독보적인 보안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어 매우 기쁘다”라며 소감을 밝혔다. 실제로 TM ONE은 이러한 블록체인 기반의 보안 인증 솔루션이 높은 수준의 보안성이 요구되는 금융 및 뱅킹 서비스에도 특화된 형태로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동시에, 아세안 주요국의 국가 정보 인프라 부문에서도 표준화된 규격의 차세대 보안 인증 서비스를 제공함과 더불어, 보안 관련 소프트웨어 관리 비용과 시스템 운영 비용 또한 최대 60%까지 절감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 밖에도 글로벌 보안 컴플라이언스 준수, 고객경험 개선 그리고 인증기관의 대외적 투명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데도 기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말레이시아의 경우 아세안 국가 중 가장 먼저 전자정부 및 공공 서비스 혁신을 위해 블록체인 기반의 보안 인증 기술 도입을 공격적으로 추진해 왔으며, 특히 금융 서비스를 위한 전자실명제(eKYC), 말레이시아 전자 ID용 eID, 여권, 운전면허증, 사업자 등록증, 국방부와 경찰청의 신원 확인 서비스 등에 우선적으로 적용한다는 전략이다. 이후 말레이시아의 자동차 및 제조 산업, 헬스케어, 항공 등 주력 산업 분야로의 수평적이고 단계적인 확장이 이루어 질 것으로 보고 있다. 한편, FNSV는 최근 국내 시장 공략을 위해 FNS i-Tech(대표이사 김태성)을 국내 독점 공급업체로 지정한 바 있다. FNS i-Tech는 지난 2019년 5월 G-CCS 솔루션 공급 및 R&D, 관련 SI/SM사업을 추진할 목적으로 FNSV의 계열사로 편입되었으며, 이를 통해 향후 국내시장에서 지속적인 영업 및 기술지원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
블록체인허브, 포블게이트 멤버십 서비스 출시 기념 에어드랍 이벤트 진행
[블록체인허브, 포블게이트 멤버십 서비스 출시 기념 에어드랍 이벤트 진행]암호화폐 거래소 포블게이트(https://www.foblgate.com/)는 '멤버십 서비스 출시를 기념하여 블록체인허브(https://www.blockchainhub.kr)와 함께 에어드랍 이벤트가 2월 29일까지 진행된다'고 밝혔다.총 25만 와플(WAFL) 과 HUB 포인트를 에어드랍하는 이번 이벤트(https://www.blockchainhub.kr/bbs/board.php?bo_table=event&wr_id=4443)는 포블게이트 멤버십 브론즈1 등급 이상과 블록체인허브 주간미션 참여를 통해 참여 가능하다.포블게이트 멤버십 서비스는 자금 예치, 스테이킹, 거래대금별 기여점수로 등급이 구분된다. 등급에 따라 최대 4억5000만원 상당의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의 리워드(에어드랍) 와 포블 로또 추첨권 등이 제공된다.포블게이트 측은 '멤버십 서비스를 통하여 거래량 증가와 와플 토큰 보유량 증가, 신규 회원 유치 등의 효과를 기대한다.' 고 밝혔다.
- ▷ Blockchain Leaders 더보기
-
-
- 돈 탭스콧(Don Tapscott), "블록체인을 해킹하려면 치킨 맥너겟을 다시 치킨으로 만드는 것과 같다" [바이낸스 3주년 …
- 돈 탭스콧(Don Tapscott), "블록체인을 해킹하려면 치킨 맥너겟을 다시 치킨으로 만드는 것과 같다" [바이낸스 3주년 기념 온라인 컨퍼런스 스피커 주요발언] 세계 최대 가상자산 거래소를 운영하는 바이낸스가 오늘 3주년을 기념하여 열린 ‘차트를 넘어선 가상 컨퍼런스’에서 향후 중동과 북아프리카(MENA; Middle East & North Africa)로 확장하겠...
-
- [인터뷰+] 가브 네이션 CEO "비트킵, DESM 알고리즘으로 우수한 보안력 입증... 전세계적으로 모은 빅데이터로 거래…
- 블록체인 비트킵 월렛은 다중체인,다중코인의 탈중심화 라이트 지갑으로 알려진 독립적 DESM 암호화 알고리즘을 개발했다.합정동 디벙크 카페에서는 지난 13일 비트킵 월렛 밋업이 열렸다. 비트킵의 가빈 네이션(Gavin Nation) CEO와 인터뷰를 진행했다.Q1. 비트킵의 서비스에 대해 설명해주세요비트킵은 대략적으로 6가지의 기능이 있습니다. 오..
-
- [인터뷰+] 블록체인 리쿠르팅 플랫폼 오프니티 CTO 로저리 "투명한 채용 경로와 인재 풀의 국가간 활발한 교류, 결…
- 글로벌 구직 커뮤니티 플랫폼 오프니티(Opennity)가 최근 한국 시장 진출 계획을 발표했다.기업과 전문 인력을 연결시키는 데 방점을 둔 오프니티 플랫폼의 핵심 비즈니스 취지는 블록체인생태계 시스템을 통해 기업들의 전문 인력 구인 시장에 해결책을 제시하는 것이다.보다 효과적인 방법을 통해 취업을 돕고 , 채용 루트를 넓혀 인재확보..
-
- [인터뷰+] 바차라 아매밧 식스네트워크 대표, "블록체인이 디지털 콘텐츠 제작 패러다임 시프트 불러올 것”
- “프로젝트 ECHO는 카카오 ‘클레이튼’ 메인넷을 기반으로 한 블록체인 체제에 그림과 영상, 글, 프로그램을 포함한 다양한 디지털 콘텐츠 정보를 저장하는, 기존의 디지털 콘텐츠 제작 방식을 완전히 바꾸는 패러다임 시프트를 불러올 것” "특히, 오늘 날 금융업계 외 분야에서 블록체인 기술이 상용화된 사례가 많지 않은 만큼, 디지털 ...
-
- [인터뷰+] 이근배 삼성리서치 AI 센터장,"‘A’lgorithm(알고리즘), ‘B’ig Data(빅 데이터), 그리고 ’C’omputing power(컴…
- 최근 글로벌 기업들의 화두는 인공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이다. 저마다 AI 인재를 확보하기 위해 발 벗고 나서고 있고, 관련 기업에 투자하며, AI 연구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4차 산업혁명의 중심에 놓인 AI는 IT 분야뿐 아니라 자동차, 은행, 병원 등 지금 이 순간에도 우리 생활 전반을 바꿔 나가고 있다.삼성전자도 AI의 중요성을 빠르게 ...
-
- [인터뷰+] 갤럭시 폴드 만든 정혜순 상무·박지선 상무,"“TV만 ‘거거익선’? 스마트폰도 마찬가지죠”
- [인터뷰+] 갤럭시 폴드 만든 정혜순 상무·박지선 상무,"“TV만 ‘거거익선’? 스마트폰도 마찬가지죠” “스마트폰과 태블릿이 각각 있었지만, 그 두 개를 합쳐 놓으면 경험이 완전히 달라집니다. 영화나 뉴스를 보고, 검색을 하는 일반적인 스마트폰 경험이 큰 화면에서 새롭게 재탄생하는 것이죠. 이제 스마트폰도 ‘거거익선(巨巨益善)’.
-
- [인터뷰+] 온톨로지 사업개발총괄 키네스 "게임 외에도 킬러댑스 들 많아... 올해 안에 200개 댑스 소싱 목표"
- 체이너스가 퍼블릭체인 온톨로지와 블록체인게임 엑셀러레이팅 프로그램을 진행중인 가운데 지난 11일 마포구 서울창업허브에서 '온톨로지X블록체인 게임' 엑셀러레이팅 프로그램 설명회를 개최했다.온톨로지는 분산 원장과 스마트 컨트랙트 시스템을 포함하는 고성능 퍼블릭 블록체인 프로젝트이자, 분산된 신뢰를 기반으로 한 ...
-
- [인터뷰] Angelium CEO 리오 "크로스현실과 블록체인의 결합, 엔젤리움 프로젝트가 만들려는 세상은 머지않아 다가올…
- 엔젤리움프로젝트는 블록체인과 가상현실, 크로스현실등을 결합해 Asset tokenization 을 실현하려고 한다.일본 베이스의 프로젝트로, 가상현실을 통해 고객들에게 토큰 서비스 보상 등의 플랫폼을 제공하고만화샵, 쇼핑몰 , 엔터테인먼트 등의 영역을 이용해 나라별 마켓 대중화도 실현하려고 하는 엔젤리움 프로젝트의 Rio Takeshi Kubo CEO와 인터.
-
- [인터뷰] SEN 마이크로 결제 플랫폼 CEO 리차드 "콘텐츠 시장의 새로운 룰 만들 것,,, 우리가 하고 있는 것은 콘텐츠…
- "What we are looking to do is create a whole way to attach a very very small amount of value to any kind of information"콘텐츠 및 정보에 조그만 가치라도 부여할 것, Richard Northcott는 SEN 플랫폼의 CEO이다.SEN플랫폼은 블록체인 소프트웨어 기술을 통해 콘텐츠를 결제할 수 있는 디지털 통화 마이크로 결제 시스템 플랫폼을 구현하려고 한다.리차드 CEO는 엔푸(Enfour)의 설...
-
- [인터뷰] Platinum community growth 매니저 블라드 " 한국시장에서의 큐다오 스테이블 코인 마케팅 성공적, 앞으로도 큐…
- Platinum (플래티넘)은 토탈 블록체인 및 암호화폐 사업 솔루션 업체이다.특히 자체적으로 나라별 스테이블 코인 발행 계획을 갖고 있는 것이 돋보인다.현재 달러 연동 스테이블 코인인 USDQ를 발행했고 몇개 거래소에 상장을 마쳤다.한국에 작년부터 마케팅 매니저를 파견해 한국시장에 눈독들이고 있는 플래티넘의 신성 커뮤니티 Growth 매니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