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탭스플러스, 플러스코인 글로벌암호화폐 거래소 힛빗 상장
미탭스플러스의 플러스코인(NPLC)이 세계 10대 암호화폐거래소인 힛빗(HITBTC)에 상장되었다.이로써 플러스코인(NPLC)은 약 450여개의 암호화폐가 거래되고 있는 힛빗거래소(HitBTC)에 상장, 국내 발행 암호화폐로는 이번이 처음이다.플러스코인(NPLC)은 지난 2017년 가을, 미탭스플러스가 국내에서 단독으로 ICO를 진행하여 성공적으로 발행된 암호화폐로 영국의 힛빗(HITBTC), 일본 리퀴드(Liquid), 국내 업사이드에서 자유롭게 거래가 가능하다.미탭스플러스 김승연 대표는 "올해 하반기 플러스코인을 사용할 수 있는 글로벌 디앱과 오프라인 결제 연동을 출시할 예정이다. 이번 힛빗 상장을 통해 유동성을 공급하고 거래량도 탄력적으로 늘려 향후 출시하는 Dapp의 글로벌 기반을 확보하는 것이 목표다"라고 밝혔다.
-
가상화폐거래 사이트 '오버노드(overnodes)' 사전등록 이벤트
가상화폐거래 사이트 '오버노드'가 정식 오픈을 앞두고 사전등록 이벤트를 실시한다.이번 이벤트는 11월9일부터 정식 오픈 전까지 실시되며, 모든 사전등록자에게 거래소 자체 토큰인 OVN1000개를 지급한다고 밝혔다. 또한 사전등록자 중 추첨을 통해 10명에게는 에어팟을 제공한다.오버노드는 가상화폐 거래소는 복잡하고 불편한 점이 많다는 편견을 깨고 카카오톡 챗봇을 통해서 투자나 거래소 사용에 익숙하지 않은 초보자들도 쉽고 편리하게 거래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축했다.현재 많은 가상화폐 거래소들이 존재하지만, 차익거래를 노리는 투자자들에게 집중되어있다. 블록체인 및 암호화폐가 일반 대중들에게 전파되려면 사용자들에게 익숙한 방식으로 다가가야 하는데, 이를 위해 오버노드는 대한민국 1등 채팅 어플리케이션 카카오톡 안에 녹아 든 거래소를 만듦으로써 그간 존재했던 장벽을 무너뜨리고 소비자에게 다가갈 예정이다.간편구매부터 포트폴리오 관리까지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사용이 간편하며, 이외에도 종목추천, 미디어 뉴스까지 채팅방 안에서 모두 해결이 가능하다. 익숙한 플랫폼 안에서 채팅으로 쉽게 암호화폐 관리가 가능해 파격적일 것이라 예상된다현재 오버노드는 스팀잇 유저들을 위한 챗봇 간편구매 서비스를 운영 중에 있으며, 추후 챗봇 거래소로 발전시킬 예정이다.
-
산업 블록체인 DIPNET, ‘축구팬연맹’과 업무협약 체결
산업 블록체인 DIPNET은 ‘축구팬연맹’과 스포츠 레크리에이션 분야의 발전 방안 마련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15일 밝혔다.이번 계약은 DIPNET의 스마트 계약 시스템을 활용하여 투자자, 팬클럽 회원, 매니저, 매니지먼트사 등 다양한 주체들이 함께 스포츠 레크리에이션 분야의 발전을 위해 함께 할 수 있는 가치 공유 체인을 만드는 데 목적이 있다.‘축구팬연맹’은 축구팬 서비스 전문회사로 전 세계 많은 스타 플레이어 클럽의 IP 자원 및 수십만 팬들의 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산업 블록체인 DIPNET는 일련의 끊임없는 생태포석을 통해 산업 체인을 만들고, 다양한 협력 파트너사를 통해 가치 증진을 이뤄내는 산업 수직 공유체인이다. 산업 블록체인 DIPNET의 블록체인 전문가인 왕정 커뮤니티 이사는 “탈 중심화와 분포식 기록의 모델이 스포츠 레크리에이션 산업이 새로운 스포츠 레크리에이션 상업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 비즈니스 모델 중 가장 높은 수준에서 출발하는 새로운 이슈이다”라고 설명했다.이어 “산업 블록체인 DIPNET는 모든 생태 파트너들과 함께 자원을 상호 보완하고 협력하여 전 세계 블록체인 산업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
삼성 블록체인연구팀, 수출품목 이동경로 물류비용 블록상 확인 가능해
삼성 블록체인연구팀, 수출품목 이동경로 물류비용 블록상 확인 가능해성기운 삼성SDS 블록체인연구팀 프로는 15일 서울 송파구 SDS 잠실캠퍼스에서 열린 IT 개발자 콘퍼런스 '삼성SDS 테크토닉(Techtonic) 2018'에서 이 같은 내용의 개발 청사진을 제시했다. 성 프로는 이날 기업형 블록체인 플랫폼 '넥스레저'(Nexledger)의 첫 사례인 해운물류용 블록체인을 발표했다. '넥스레저'는 수출물품의 이동경로와 물류비용, 이동 중 선박 내 온도 등 각종 데이터를 블록상에 기록해 애플리케이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삼성SDS는 지난해 5월 관세청과 은행업계와 해운업체, 보험사 등 38개 기관이 참여하는 '해운물류 블록체인 컨소시엄' 사업을 주도한 뒤 같은 해 12월 수출통관 서비스를 공개한 바 있다.
-
블록체인 비디오 전송 네트워크 세타, 카이스트와 기술 제휴 맺어
블록체인으로 구동되는 최초의 비디오 전송 네트워크인 세타가 카이스트와 제휴를 통해 국내 시장 주도권을 강화했다고 공식 발표했다. 세타와 카이스트는 함께 블록체인 교과과정을 개설하는 등 블록체인 기술의 미래를 이끌어 갈 인재 육성에 뜻을 모았다. 세타는 한국 최고의 연구 지향적 과학기술 교육기관인 카이스트와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전기공학 및 컴퓨터공학부를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기로 했다. 내년 초부터 세타의 경영진들이 기업가 정신과 기술 교육을 통합한 특수 공학 프로그램인 K-스쿨에서 대학원 수준의 정규 과목을 강의할 계획이다. 세타는 또한 학생들의 블록체인 동아리를 후원하며 11월 16일에는 블록체인 입문 세미나도 개최할 예정이다. 김종환 카이스트 전기공학부 학과장은 “한국이 세계 블록체인 시장을 주도하려면 블록체인 기술에 대한 정교한 이해와 함께 블록체인이 기존 산업을 어떻게 변화시킬 것인지에 대한 안목을 지닌 개발자와 기업가가 필요하다”며 “세타와의 제휴를 통해 학생들에게 블록체인 기술에 대한 탁월한 통찰력과 실질적 적용을 교육할 수 있다”고 밝혔다. 또한 김 학과장은 “블록체인 기술은 마치 1997년의 인터넷과 같다”며 “카이스트의 학생들은 이 새로운 기술이 세계를 변화시키는 산업으로 번창할 미래를 직접 만들어갈 기회를 가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세타 랩스의 공동 창립자이자 CEO인 미치 리우(Mitch Liu)는 “한국의 MIT로 알려진 카이스트와의 파트너십은 미래의 기술 리더를 교육함으로써 블록체인의 미래를 형성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며 “불과 몇 년 전까지만 해도 MIT의 미디어 연구실에서 학부생으로 지냈기 때문에 학생들의 입장을 이해한다. 또한 우리에게는 업계 파트너와 협력하며 쌓은 가치 있는 통찰력이 있다”고 말했다. 또한 리우 CEO는 “한국의 명문 공학 대학과 함께 블록체인 혁신과 기업가 정신을 추진하게 된 것은 매우 특별한 기회다”고 덧붙였다. 블록체인 기술 도입의 선두주자인 한국은 세타가 뚜렷한 성과를 거두어 온 주요 시장이다. 최근에는 세타의 테스트넷 운영 결과를 토대로 한국의 거대 언론사인 매경 미디어 그룹의 MBN, CJ 헬로우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발표하기도 했다. 세타는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구동되는 비디오 전송 네트워크로, 비디오를 감상하면서 스트리밍 대역폭을 공유하여 수익을 창출하는 차세대 비디오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시청자의 참여를 늘리는 동시에 콘텐츠 전송 비용을 절감하는 놀라운 솔루션이다. 세타의 프로토콜을 통해 시청자는 자신의 모든 기기에서 사용하지 않는 대역폭을 통해 다른 시청자에게 비디오를 스트리밍 함으로써 세타 토큰을 얻게 된다. 시청자들은 중앙 서버가 아닌 가까운 서버를 이용하여 향상된 품질의 스트리밍을 즐길 수 있을 뿐 아니라 보상으로 얻은 토큰으로 프리미엄 서비스, 콘텐츠, 그리고 제품을 구입할 수도 있다. 세타의 기술력을 통해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발견하고 시청자와 더 다양하고 심층적인 접점을 창출하며 충성 고객을 확보하기 위한 토대를 마련할 수 있다.
-
팝콘 거래소 11월 내 론칭 예정...센터코인 동시 상장 계획
센터코인이 암호화폐 거래소 팝콘에 11월내 상장을 추진한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센터코인 러시아 거래소에 이어 한국 내 암호화폐 거래소 상장을 추진하고 앞으로 중국, 일본 등에 상장을 준비하고 있다.팝콘거래소의 김영기 대표는 "오랫동안 준비한 거래소를 다음주 오픈함과 동시에 센터코인을 상장한다고 발표했으며 거래소 오픈 막바지 마무리 작업중"며 "팝콘거래소는 안정적인 서버와 시스템 보안을 위해 많은 준비를 해왔다"고 밝혔다.센터코인 관계자는 "센터코인이 이달 중 팝콘 거래소에 상장을 추진하고 있다"며 "외환거래에 특화된 센터코인은 추가적인 외환브로커와의 계약과 더불어 여러 국가에서 IEO를 진행할 계획이다"고 밝혔다.한편, 센터코인은 현재 스탁익스체인지와 트레이드사토시 거래소에서 상장해 거래돼고 있다.
-
바이두, 中 하이난성에 블록체인 실험실 정식 출범
[CME 보고서, 3Q BTC 선물 거래량 41%↑]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CCN이 시카고 상품 거래소(CME)가 발표한 3분기 BTC 선물 거래 데이터를 인용, BTC 선물의 3분기 일일 평균 거래량이 5,053건으로 전분기대비 41% 증가, BTC 미결제약정(open interest)건수가 19% 증가했다고 보도했다. [美 사법 당국, 범죄 연루 660 BTC 경매]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데스크(Coindesk)에 따르면, 미국 사법 당국이 범죄 연루 혐의로 몰수된 430만 달러 규모의 660 BTC를 경매에 부친다고 발표했다. 해당 BTC는 미국 연방 형사, 민사 및 행정 소송에서 몰수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경매는 오는 11월 15일(현지 시간) 시작될 예정이며, 경매 입찰 신청자는 이번달 31일까지 당국에 신분증 제출과 20만 달러의 신청비를 납부해야 한다. 또한 한번 호가한 입찰가는 철회 불가능하며 입찰자는 다른 입찰자의 입찰가 관련 정보를 볼 수 없다는 게 당국의 설명이다. [英 보안회사 G4S, 암호화폐 보관 서비스 출시] 영국 파이낸셜타임즈(FT)에 따르면, 영국 런던 소재 글로벌 보안 회사 G4S가 최근 암호화폐 보관 서비스를 출시하며 암호화폐 산업 진출을 발표했다. 앞서 미국 대형 자산운용사 피델리티는 이번 주 암호화폐 거래 서비스 및 기관 투자자 대상 커스터디 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으며, 골드만 삭스, 노던 트러스트, JP 모건 등 글로벌 금융기관 역시 유사한 서비스를 개발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바이두, 中 하이난성에 블록체인 실험실 정식 출범] 중국 최대 검색엔진 바이두(百度)가 오늘 오후 중국 하이난(海南)성 정부와 전략적 제휴를 체결하고 블록체인 R&D 기관 '두리엔(度链网络科技)' 실험실을 하이난성에 정식 출범했다. 앞서 하이난성 공신청(工信厅)은 지난 9월 30일 하이난성 자유무역구(FTZ) 내 블록체인 실험실 설립을 승인하고 적극적인 제도혁신과 산업 혁신을 장려한 바 있다. 또한, 중국 국무원은 지난 16일 하이난성을 자유무역시험구로 지정하는 방안을 공식 승인하고 '중국(하이난) 자유무역시범구 종합방안'을 공개했다. [日 금융청 "하반기, 증권·무역금융에 블록체인 본격 활용"] 일본 금융청이 전날(18일) 제 40회 금융심의회를 열고 일본 상반기 금융 산업 발전 현황 리뷰 및 하반기 업무 계획을 발표했다. 금융청은 이날 "투자기관과 증권사 간 각종 업무 실험을 통해 블록체인 기술을 무역금융 및 증권투자 분야에 본격적으로 활용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아프리카 거래소들, 투자자 보호 차원 보안 강화 잇따라]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비트코인닷컴이 미국 암호화폐 전문 조사기관 사이퍼 트레이스(CipherTrace)의 데이터를 인용, 일부 아프리카 소재 암호화폐 거래소들이 투자자 자금에 대한 보안 조치를 강화한 상태라고 밝혔다. 이는 네트워크 공격에 의한 암호화폐 거래소의 자금 도난 사건이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아프리카 소재 암호화폐 거래소들이 보안 강화의 필요성을 인식했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유로폴 국장 "암호화폐 사용 자금세탁 사례 증가"] 유럽 형사 경찰 기구인 유로폴(Europol)의 롭 웨인라이트(Rob Wainwright) 국장이 최근 "유럽 내 범죄 집단이 얻은 불법 수익 중 약 3~4%는 암호화폐를 통해 세탁됐다"며 "매년 유럽 내 불법세탁 자금 규모는 42~56 억 달러에 달한다"고 말했다. 또한, 미국 마약단속국(DEA)은 이와 관련해 "최근 국제 범죄 조직들이 암호화폐를 자금 세탁 도구로 사용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고 덧붙였다. [USDT 외 스테이블코인, TUSD 유통량 최대] 암호화폐 관련 데이터 제공 플랫폼 서체인(Searchain.io)의 통계 데이터에 따르면, 전날(17일) 4종 신규 달러 연동 스테이블 코인(TUSD, GUSD, PAX, USDC)중 TUSD의 유통량(Circulating Supply)이 158,479,569.49 개로 가장 높고, GUSD의 유통량이 1,886,839.28 개로 가장 낮은 것으로 집계됐다. 또한 전날 4종 스테이블코인 모두 추가 발행됐다. 그중 PAX의 신규 발행량이 3,335,208.88개로 가장 많았으며, USDC의 발행량이 10,874.90 개로 가장 적었다. 최근 7일간 해당 스테이블코인의 유통량은 모두 증가했으며, 그 중 TUSD가 40,002,457개로 가장 많은 증가폭을, GUSD가 1,360,714.98 개로 가장 낮은 증가폭을 기록했다. [中 미디어 "채굴업계 불황...BTC 해시율 제자리 걸음"] 중국 IT 전문 미디어 미디어 텅쉰커지(腾讯科技)에 따르면, 최근 암호화폐 채굴 산업이 불황을 겪으며 다수 채굴자들이 장비를 처분하고 싶어하지만 중고 채굴기 가격이 신형 채굴기 보다 비싸 판매에 난항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앞서 세계 최대 암호화폐 채굴업체 비트메인이 앤트마이너 신형 채굴기 'S9 Hydro' 잔여 물량을 원가에 처분한 것으로 알려졌다. 비트인포차트에 따르면, BTC 해시율은 8월 27일 57.54EH/s의 고점 기록 후 제자리 걸음을 이어가고 있다. [EOS 메인넷, 'CPU 부하 완화' 코드 제안 적용 완료] EOS 메인넷이 CPU 부하 완화를 CPU 할당량을 현재의 2배로 늘리는 코드 변경 제안이 15개 이상의 BP 승인을 받아 적용이 완료됐다. EOS 메인넷은 지난 17일 EOS 기반 게임 DApp EOSBET와 BetDice가 각각 224만 EOS, 16.3만 EOS를 스테이킹해 과도한 CPU를 사용했으며, 사용자들의 자원 이용에 차질이 빚어진 바 있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모빌리티 블록체인 MVL, TADA TAXI 서비스 출시
싱가포르에서 TADA(타다) 앱을 이용하면 라이드 헤일링 서비스와 택시 서비스를 모두 이용할 수 있다.모빌리티 블록체인 MVL(엠블)을 개발하고 있는 MVL Foundation(엠블 파운데이션)은 싱가포르에서 TADA Taxi(타다 택시)를 출시한다고 15일 발표했다. 엠블 파운데이션은 지난 7월 라이드 헤일링 서비스 TADA를 싱가포르에 출시해 현재 제로 수수료 모델로 서비스 중이다. 제로 수수료 모델이란 라이드 헤일링 운전기사가 플랫폼 사용료를 따로 지급하지 않는 모델을 의미한다. 기존 라이드 헤일링 서비스는 운전기사가 수익의 일정 부분을 플랫폼 수수료로 지급해야 한다. TADA 택시는 싱가포르 택시 업체들과 파트너십 체결을 통해 5000명 이상의 택시 운전기사를 추가로 확보했다. TADA를 사용하는 승객들에게 다양한 옵션을 제공하기 위해서다. TADA 택시는 라이드 헤일링 서비스 TADA처럼 제로 수수료 모델로 운영될 예정이며 택시 운전기사가 택시 회사에 별도로 부과하는 추가 부담금도 없다. TADA 승객들은 기존의 TADA 앱을 통해 TADA 택시도 이용할 수 있다. 최근 모빌리티 서비스에 대해 승객과 운전기사 모두 더 많은 옵션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 엠블은 TADA 택시 서비스도 출시하게 됐다. 승객들은 예약 기반 서비스 차량 부족으로 더 많은 옵션을 원했으며, 택시 운전기사들도 승객을 찾기 위한 빈차 운행 시간으로 낮은 수입에 대한 어려움을 토로하고 있다. 엠블의 우경식 대표는 "TADA 택시는 택시 운전기사들이 운행으로 더 많은 수익을 창출하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기존 라이드 헤일링 서비스보다 택시를 더 선호하는 특정 승객들이 있다는 점을 MVL도 인식하고 있으며 라이드 헤일링 플랫폼을 택시에도 적용해 더 많은 승객이 기존 택시 운전기사들에게도 다가갈 수 있도록 지원하고 싶다"고 말했다.엠블은 향후 TADA에 블록체인 프로토콜 엠블을 적용할 예정이다. 엠블은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모빌리티 생태계로 파편화된 자동차 및 교통 서비스를 통합하고 서비스를 통해 생성된 데이터를 블록체인에 기록해 투명하고 신뢰높은 모빌리티 생태계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토큰이코노미 구현으로 데이터 생성에 참여하는 사용자들은 인센티브를 받을 수 있다.
-
키네틱, 벤처스마트 아시아 리미티드와 파트너십을 맺고 전문 투자자들에게 암호화폐 투자 펀드 제공
홍콩에 본사를 둔 블록체인 투자 및 투자조언 전문회사인 키네틱(Kinetic)이 암호화폐 시장 전반적인 침체에도 불구하고 자사의 투자 포트폴리오가 2018년 초부터 10월 31일 현재까지 77%의 수익률을 거뒀다고 발표했다. 2017년 12월 고점을 기록한 비트코인은 올해 들어 50% 이상 하락했고 전체 암호화폐 시장은 평균 65% 하락을 기록했다. 키네틱의 독자적인 투자 포트폴리오는 풍부한 경험을 갖춘 투자팀의 주의 깊은 실사를 통해서 엄선된 최고의 암호화폐 자산들로만 구성되어 있다. 정량적 모델에 근거한 회사의 알고리즘 트레이딩 전략은 초기단계 투자와 이벤트 및 거시 테마에 초점을 맞춘 전략에 더해 신중한 리스크관리 및 자체적인 트레이딩 툴에 근거하고 있다. 키네틱의 CEO인 다니엘 와인버그(Daniel Weinberg)는 “우리는 글로벌 블록체인 업계에서 주도적인 사업체로서 높은 투자기회가 존재하고 전통산업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업계 트렌드에 주목을 한다. 지금과 같이 격변의 시기에 우리 회사의 독자적 투자 포트폴리오는 높은 기관투자 경험 및 리스크관리 능력 덕택으로 다른 암호화폐 펀드에 비해 매우 높은 실적을 올리고 있다”고 말했다. 전문 투자자들이 이러한 기회를 잡을 수 있도록 돕기 위해 키네틱과 벤처스마트 파이낸셜 그룹(VSFG)의 100% 소유 자회사이자 홍콩 증권선물사무감찰위원회(SFC) 승인 하에 웰스 매니지먼트 및 자산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벤처스마트 아시아 리미티드(VSAL)는 전략적 파트너십을 맺고 일정한 자격을 갖춘 전문 투자자들이 암호화폐 투자펀드에 접근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로 했다. 이 파트너십을 통해 두 회사는 각자의 전문지식과 자원을 최대한 활용해서 전문 투자자들을 위한 암호화폐 투자펀드를 개발하는데 협력하기로 했다. VSAL을 통해 판매되는 신규 펀드는 다양한 소극·적극적 투자 전략으로 자격을 갖춘 투자자들이 디지털 자산 포트폴리오를 다변화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VSFG의 전무이사인 마크 브래디(Mark Brady)는 “VSAL과 키네틱은 강력한 파트너십을 맺고 디지털 자산 분야에서 기관급 투자상품을 공동 개발하고 있다. 우리는 매수부문 기관들의 엄격한 표준에 부합되는 상품을 개발하기 위해 최고의 파트너들과 같이 작업하고 있다. 키네틱의 블록체인 부문 경험과 VSAL의 맞춤형 자산관리 솔루션 경험을 결합함으로써 우리는 기관투자자들이 자신들의 필요에 맞는 펀드 상품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
국내 블록체인 마케팅 전문 플랫폼 블록체인인사이트, 바운티에이 서비스 오픈
블록체인마케팅 전문 업체 ‘블록체인인사이트’가 블록체인 마케팅 플랫폼 ‘BountyA(바운티에이)’ 베타서비스를 오픈했다고 15일 밝혔다. 바운티에이는 국내에서 블록체인을 전문적으로 홍보할 수 있는 마케팅 플랫폼으로, 국내 사용자에게 친숙하고 파급력이 강한 인플루언서 마케팅 방식을 적용하여 블록체인 프로젝트의 단순 홍보 뿐 아니라, 언론홍보, 영상제작, 번역 등 프로젝트에 부족한 리소스를 대신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현재 팬텀, 위블락, 마인빗, 스타코인 등 블록체인 프로젝트와 거래소의 홍보 바운티가 다수 오픈되어 있다. 바운티에이는 블록체인 프로젝트의 국내외 온라인 마케팅과 오프라인 밋업 행사 대행을 진행해왔던 ‘블록체인인사이트’가 그동안의 노하우를 바탕으로 블록체인 전문 플랫폼이다. 블록체인인사이트의 장기태 대표는 “오픈 베타서비스 기간에는 광고주에게 마케팅 설계부터 운영, 리포트 진단까지 바운티에이팀이 직접 컨설팅해 줄 예정이며, 블록체인 만을 전문적으로 홍보할 수 있는 매체가 부족한 국내에 인플루언서 마케팅방식으로 블록체인 프로젝트의 홍보 범위를 넓힐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
샤브향, 가상화폐 ‘딜링’ 결제 시스템 도입
월남쌈 샤브샤브 외식 브랜드 샤브향이 전국 가맹점 결제 수단으로 가상화폐인 ‘딜링(DLC)’을 도입한다고 14일 밝혔다.
샤브향이 결제수단으로 선택한 국내 가상화폐 ‘딜링’은 가상화폐 중개소인 온디엘씨(ONDLC)에서 거래되고 있는 생활
밀착형 가상화폐다.
‘딜링’은 결제수단 뿐 아니라 마케팅 도구로 잠재력이 있어 매장 이용자의 편의 및 할인 서비스 뿐 아니라 샤브향
가맹점주에게도 부가 수입을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가상화폐를 이용한 결제 서비스는 국내 뿐 아니라 미국, 일본, 스위스와 같은 가상화폐 선진국에서 이미 보편화된 추세로 앞으로 샤브향과 온디엘씨 양사의 협업을 통해 가상화폐
결제 시장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조주환 샤브향 부회장은 “발전하는 결제 환경에 발맞춰 가기 위해 매장
이용자가 기존의 현찰과 카드, 각종 페이 결제 뿐 아니라 가상화폐로도 결제를 할 수 있도록 편의를 제공할
것”이라며 “가상화폐 ‘딜링(DLC)’의 경우 가상화폐 거래소를 거치는 것이 아니라 이용자의 전자지갑에서 온디엘씨라는 중개소를 통해 점주의
전자지갑으로 거래되는 간단한 구조로 매장의 결제수단으로 유용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연말까지 시범
서비스를 마치고 내년부터 전국의 매장으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조 부회장은 “딜링이 샤브향 매장에서만 국한되게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추후 제휴 온라인 및 오프라인매장에서도 사용이 가능해, 활용 면에서도 이용자들에게 더 나은 방향으로
서비스 될 것 같아 선택하게 됐다”라고 덧붙였다.
온디엘씨 관계자는 “기존의 가상화폐는 매장의 포스(POS) 설치비와 유지비, 수수료가 발생하는 반면 딜링은 가맹점주와
이용자가 전자지갑만 다운 받으면 쉽게 결제를 바로 할 수 있다. 딜링은 부수적인 비용이 들지 않아 가맹점주의
부담을 덜어주고 있다”며 “딜링을 도입한 매장의 수익이 늘어날
수 있도록 각종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
대만 RF그룹과 협력하는 센터코인
센터코인 대만 RF그룹과 협력
센터코인의 관계자에 따르면 센터코인이 대만 서부글로벌(RF)그룹과
협력한다고 전했다.
서부글로벌그룹은 1988년 영국에 금융회사를 설립하고 2000년 홍콩에 자회사를 설립하고금융인재양성 환경사업을 통해 발전해왔다.또한
다수의 M&A, 지분투자를 통해 기업상장을 컨설팅하였으며 대만,
태국, 홍콩, 중국에 부동산, 호텔에 관한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관계자에 따르면 서부글로벌그룹의 금융, 부동산, 관광, 쇼핑몰 등의 여러 사업분야에서 한국의 면세점과협력해 센터코인을
활용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센터코인은 기존 외환거래뿐만 아니라 오프라인의 실제 쇼핑에서 활용되는 발판을 마련했다는 평가다.
센터코인은 다른 토큰의 ICO 절차와 다르게 진행하고 있어 주목받고
있다. 기존 토큰들이 투자를 받아 상장, 메인넷을 개발하는
것과 달리 이미 메인넷을 완료하고 거래소상장을 각국에 차근차근 진행하고 있다. 러시아계브로커사 UFX와 협약한데 이어 대만, 한국의 회사들과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하기로해
러시아, 영국 거래소에서 코인을 보유하고 있는 투자자들로부터 신뢰를 받고 있다.
센터코인은 한국 회사들과 협력하면서 한국 거래소에 상장될 예정이라고 한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공식 sns를 통해서 알수있다고 한다.공식 텔레그램방(어나운스) : https://t.me/centercointalk 공식 텔레그램방 (토론) : https://t.me/joinchat/FC0wt0dM2uCsQq7yjKVrdg
공식 카카오 단톡방 : https://open.kakao.com/o/gFuv05S
-
美 글래스도어 "블록체인 일자리, 전년 동기대비 300% ↑
EOS, CPU 스테이킹 비용 인하EOS 그래비티에 따르면, EOS BP들이 18일 CPU 스테이킹 비용 인하 방안을 통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방안은 EOS 메인넷의 CPU 자원을 1배 가량 늘리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해당 방안이 논의된 후, EOS 메인넷 상의 CPU 스테이킹 비용은 이미 대폭 인하됐고, CPU 이용시간은 증가된 것으로 알려졌다.※해당 뉴스는 EOSYS와 코인니스가 공동 제작했습니다.빗썸, ZRX 입출금 재개국내 암호화폐 거래소 빗썸이 "제로엑스(ZRX, 시총 22위)의 시세 차이가 10% 이내로 안정되어 오는 22일 오후 3시 해당 암호화폐의 입출금 서비스를 재개할 예정"이라고 공지했다. 코인마켓캡 기준, ZRX는 현재 3.08% 오른 0.915936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日 FSA “단순 암호화폐 거래, 금융 활동 분류 여부 고민 필요”중국 현지 미디어에 따르면, 19일 일본 금융청(FSA)이 ‘제7차 암호화폐 거래소 세미나’를 개최하고 암호화폐 거래 금융 규제 여부에 대해 논의했다. 이와 관련해 FSA는 "단순 암호화폐 거래의 금융 활동 분류 여부와 금융 활동으로 취급될 경우의 규제 방안에 대해 심도있는 고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앞서, 일본 국세청 산하 세무위원회는 현재 시행 중인 암호화폐 거래 수익 관련 납세신고 시스템을 간소화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등 암호화폐 정책에 대해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美 글래스도어 "블록체인 일자리, 전년 동기대비 300% ↑암호화폐 미디어 코인텔레그래프가 미국 구인구직 사이트 글래스도어(Glassdoor)의 보고서를 인용 "2018년 8월 기준, 미국의 블록체인 관련 일자리가 총 1,775개로 동기 대비 300% 증가했다"고 보도했다. 이와 관련해 글래스도어는 "블록체인 소프트웨어업체 콘센시스(Consensys)와 IBM 모두 200여개의 일자리가 있고,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와 크라켄 그리고 액센츄어와 KPMG도 블록체인 전문가에 대한 수요가 크다"고 밝혔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OTCXN, 기관 클라이언트 겨냥 크립토 거래소 ‘OTC 블록 트레이딩’ 개장
OTCXN은 글로벌 유동성 관리와 네트워크 상에서 보호예수 사업자의 단일 어카운트를 통해 거래를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자산 디지털화와 자체 개발한 블록체인 기술, 실시간 담보관리, 다양한 기관투자자 거래 플랫폼을 활용하는 자본시장 인프라 회사이다. OTCXN은 대차대조표와 신용을 필요로 하지 않고 거래상대가 거래에 참여하지 않고도 거래상대 및 결제상의 리스크를 없애주는 기술 플랫폼을 세계 최초로 개발해냈다. 블록체인 기반의 자산시장 인프라 기업인 OTCXN이 크립토 거래소(trading venue) ‘OTC 블록 트레이딩’를 개장했다고 발표했다. OTC 블록 트레이딩은 기관 전용 디지털 자산 거래용으로 개장하는 첫 거래소다. 성공적인 테스트 기간을 거친 OTC 블록 트레이딩은 이제 OTCXN 네트워크에서 수탁관리(custodian) 계정을 가진 모든 클라이언트에게 문을 연다. 클라이언트 중에는 킹덤 트러스트(Kingdom Trust)와 프라임 트러스트(Prime Trust)가 있다. 킹덤 트러스트와 프라임 트러스트는 미국 규제당국의 승인 아래 암호화폐 수탁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다. OTC 블록 트레이딩은 법정화페와 크립토, 크립토와 크립토, 법정화폐와 법정화폐 거래를 지원한다. OTCXN의 설립자 겸 최고경영자인 로사리오 인가기올라(Rosario M. Ingargiola)는 “기관 클라이언트들이 OTC 블록 트레이딩에서 아무 위험없이 거래할 수 있게 되어 매우 기쁘게 생각한다”며 “공개원장 거래가 없는 크립토 자산의 즉각적 재거래성(re-tradability)은 클라이언트에게 더 많은 트레이딩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OTCXN은 기관 클라이언트에게 상당히 매력적인 솔루션이다. 크립토 통화는 보관과 거래가 상당히 까다로웠기 때문이다. 블록체인 레이어에서 발생하는 모든 거래 기록은 변경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투명성과 증명가능성을 높인다. 따라서 기관 클라이언트는 규제 요구, 회계 감사, 기금 관리가 용이하다. OTCXN은 올해 말 고성능 매칭 엔진인 리퀴매치(LiquiMatch)를 선보일 예정이다. 리퀴매치는 암호화폐를 대상으로 한 익명거래시장(Dark Pool) 및 중앙지정가주문장(Central Limit Order Book) 방식의 거래소다. 클라이언트는 모든 OTCXN 거래소에서 수탁관리기관에 개설된 하나의 계정으로 유동성에 접속할 수 있다. OTCXN는 또한 2019년 초에 코인 대출 및 레버리지 파이낸싱을 위한 마켓플레이스도 공개할 계획이다.
-
보스코인, 메인넷 공식 론칭..깃허브에 소스 공개 및 첫 커뮤니티 투표 위한 페이지 오픈
보스코인, 메인넷 공식 론칭..깃허브에 소스 공개 및 첫 커뮤니티 투표 위한 페이지 오픈 대한민국 제 1호 ICO 프로젝트인 보스코인 (BOScoin, www.boscoin.io, 대표: 최예준, 기업명: 블록체인OS)이 메인넷 ‘SEBAK(세박)’ 개발을 완료하고, 퍼블릭 테스트넷을 오픈한다고 밝혔다. 보스코인은 메인넷 개발을 10월 중순에 완료하고 한달 가량 각종 테스트와 검증 작업을 통해 안정성 및 보안을 점검해 왔으며, 이미 깃허브(Github)를 통해서 오픈소스로 개발해오고 있다. 이번에 오픈한 퍼블릭 테스트넷을 통해서는 보스코인 웹 월렛(https://testnet-wallet.blockchainos.org), 노드 주소(http://testnet-sebak.blockchainos.org:2821/) 등 SEBAK(세박)의 모든 기능을 동일하게 확인 할 수 있다.이번에 론칭한 메인넷 SEBAK(세박)의 가장 큰 특징은 보스코인이 독자 개발한 ISAAC* 알고리즘을 적용해 초당 5,000 TPS 확보한 탈중앙화 시스템을 구축했다는 점이다. 또한, 블록체인 운영에서 가장 핵심적인 요소인 거버넌스를 구현하기 위해 1인 1투표의 무기명 투표 방식을 메인넷에서 기술적으로 구현했다는 점이다.보스코인 배민효 CTO는 “보스코인 메인넷(Mainnet)의 공식 명칭인 ’SEBAK(세박)’은 새벽을 의미하는 우리나라의 고어로, 보스코인 네트워크의 새벽을 밝힌다는 의미를 담아 개발팀에서 명명했다”라며 “보스코인 커뮤니티가 보내 준 지지에 보답할 수 있는 메인넷을 개발하기 위해서 주요 기능과 함께 안정성, 보안 등에 각별히 신경을 썼다. 누구나 확인하고 피드백을 줄 수 있도록 소스코드를 공개했다. 오픈소스인 블록체인 생태계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라고 말했다.한편, 메인넷 출시에 따라 기존 토큰넷 기반의 보스코인 거래는 정지되고, 새로운 메인넷으로 거래가 진행된다. 해당 작업은 보스코인이 거래되고 있는 지닥(GDAC), 쿠코인(KuCoin), 코인베네(CoinBene) 등의 거래소와 진행 중이며, 20일부터 진행될 예정이다. 메인넷에서 기존 모든 거래에 대한 최종 금액 정보를 가져오기 때문에, 별도의 토큰 스왑이 필요 없으며, 기존 지갑 주소를 그대로 새로운 메인넷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다만, 기존 토큰넷 기반 월렛에서는 과거의 거래 내역만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구글플레이를 통해 신규 보스코인 월렛을 다운로드 받으면 기존 지갑 주소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또한, 메인넷 론칭 후 진행될 첫번째 커뮤니티 투표의 안건 페이지(https://boscoin.io/pf/pf_r_00-000-a/)가 공식 오픈했다. 첫번째 투표는 11월 30일 한국시간 기준 오후 13:00에 시작해서, 보스콘 행사 전날인 12월 6일 오후 13:00에 종료된다. 블록체인 기술 특성상, 정확한 시간은 블록 높이(Height)를 기준으로 측정되어 진행되며, 이에 따라 약간의 오차는 발생할 수 있다. 메인넷 마이그레이션 이후에, 해당 페이지에 있는 ‘투표앱 다운로드(Voting app download)’를 클릭하여 데스크탑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해 참여할 수 있다. 투표 참여를 위해서 보스코인 멤버십의 기본 조건인 KYC를 거쳐야 하며, 1만 개의 보스코인을 프리징을 해야 한다.보스코인 공동창업자이자 CEO인 최예준 대표는 “보스코인이 준비해 온 퍼블릭 파이낸싱의 시대가 이제 개막된다. 기존 자본주의의 한계를 극복하여 커뮤니티의 민주적인 결정에 따른 신용 창출과 투자가 가능한 시대에 더 많은 사람들이 적극적으로 동참하기를 희망한다”라고 말했다. *ISAAC(아이작)에 대하여보스코인의 합의 알고리즘인 아이작(ISAAC)은 퍼블릭 파이낸싱(PF)을 위한 4단계에 걸친 합의 과정의 이니셜을 따서 만든 것이다.제안하고 (Initial) 투표하고(Sign), 승인하고 (Accept), 최종 확인하는(All-Confirm) 퍼블릭 파이낸싱의 모든 프로세스에 적용되는 프로토콜을 의미한다. 탈중앙화 되어 있으며, 점진적 오픈 멤버쉽을 지향하고, 네트워크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보스코인(BOScoin)에 대하여대한민국 제 1호 블록체인인 보스코인(BOScoin)은 블록체인OS가 2017년 5월 ICO를 통해 출범시킨 프로젝트이다. 최초 발행량은 보스코인 5억 개이며, 보스코인의 ICO는 시작 9분 만에 약 157억원의 하드캡을 달성하였으며, 17시간 만에 6,902 BTC 규모의 모금을 완료하였다. 보스코인은 지난 6월 테스트넷 소스 오픈을 시작으로, 올해 말에 자체 기술로 구현한 메인넷 오픈을 준비하고 있는 한국 토종의 블록체인 기술 업체이다. 현재 보스코인 플랫폼 위에서 주요 산업군별로 블록체인 기술을 접목하여 새로운 혁신적인 사업 모델을 추진하고자 하는 파트너사들을 발굴하고 있으며, 본격적으로 보스코인 생태계 형성을 추진해 나가고 있다.
-
MILE이 “BitForex”에 상장된다
MILE이 “BitForex”에 상장된다. 세계에서 가장 큰 암호화폐 거래소 중 하나인 “BitForex”는 “MILE" 코인을 상장할 것이라고 발표 했다. MILE의 공식 상장은 11월 16일이고, 베이징 시간 16:00(8:00 UTC)부터 거래가 시작됩니다. 같은 시간에 암호화폐 거래소의 MILE 입금과 출금 또한 가능하다. BitForex에서 동시에 두 가지의 트레이드 마켓에 론칭합니다.: MILE/BTC, MILE/ETH. 미국달러로 환산하면, 1MILE은 1.7달러입니다. 현재 MILE 시가총액은 1.7BUSD이다. BitForex의 Garrett Jin 부사장은 “우리는 BitForex에서 MILE을 볼 수 있게되어 기쁩니다.” “블록체인 산업의 발전에 있어 그들의 특별한 특징은 stable coin으로서 큰 잠재력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분명히, 우리는 기술적으로 더 분산되고 투명한 새로운 암호화폐가 필요합니다. 그리고 MILE은 그것들 중 하나입니다.”고 밝혔다.MILE코인은 “XDR"이라고 알려진 또 다른 스테이블 코인과 함께 작동하는 같은 에코 시스템의 일부입니다. MILE이 완전히 변동환율을 가진 코인이라면, XDR은 사회적 알고리즘의 스테이블 코인이고, 누구든지 발행할 수 있는 코인입니다. XDR은 1981년 이후 11% 밖에 가격이 변하지 않은, 매우 안정된 IMF(국제통화기금)의 SDR(특별인출권)과 동일한 가치를 지니고 있습니다."고 밝혔다.BitForex는 거래소에서 MILE이 출시된 후 XDR을 상장할 계획이다. MILE 에코시스템 정보MILE 에코시스템은 익명의 또는 MILE블록체인의 개발자 명목의가명 “Lotus Mile"로부터 전세계 국가의 송금 및 투자, 국경을 초월한 통화 거래에 사용되도록 설계되었습니다.MILE 블록체인 실제 경제적용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협의는 일본, 중국, 한국, 터키, 브라질, 러시아, 카자흐스탄, 나미비아, 우간다 등의 많은 정부 및 상업 단체에서 이미 시작되었습니다. 추가적으로, MILE 에코시스템은 BRICS, 실크로드 협회와 같은 단체와 파트너십 협정이 이루어 졌습니다. BitForex 정보2017년에 설립된 BitFoex는 사용자에게 안전하고 전문적이며 편리한 암호화폐 거래 서비를 제공하는 세계최고의 디지털 자산 거래 플랫폼 중 하나입니다. BitForex는 중국에서 인기가 있습니다. Coin Marketcap에 따르면, 현재 BitForex는 수억 달러의 일일 거래량을 가진 상위 10위권 한의 암호화폐 거래소입니다.
-
필리핀 국제가상화폐거래소 박스콘 “기축통화코인으로 스타그램코인(SGC) 선정”
필리핀 국제 가상화폐 거래소 ‘박스콘’이 기축통화코인으로 스타그램코인(SGC)을 선정했다. 필리핀 중앙은행으로부터 ‘박스콘’을 국제 가상화폐 거래소로 승인 취득한 KMS글로벌은 13일 “박스콘 거래소의 기축통화코인으로 글로벌 성장성을 갖추고 있는 스타그램코인을 최종 선정했다”고 밝혔다. 스타그램코인은 박스콘의 기축통화로서 결정됨에 따라 글로벌 코인으로서 입지를 강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기존 국내·외 거래소와 마찬가지로 박스콘에 상장하기 위해서는 상장투표를 거치게 되어 있는데 이 경우 상장을 목표로 하는 각각의 코인은 스타그램코인을 구입해 투표에 참여해 상장 여부를 가리게 된다. 이를 통해 스타그램코인은 글로벌 코인으로의 도약과 범용성을 넓힐 것으로 전망된다. KMS글로벌 전석 부대표는 “다수의 코인 중에서 국제 거래소인 박스콘의 위용에 걸맞는 기축통화코인으로 선정된 스타그램코인은 다양한 거래와 결재에 통용될 것”이라고 밝혔다. 우선 해외에서 근무하는 1500만명을 상회하는 필리핀 글로자들이 송금 업무시 스타그램마켓에서 코인구매시 수수료가 페이백 된다는 점을 감안하면 스타그램코인의 사용량은 급증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또한 박스콘이 마카오 못지않게 필리핀에 개설된 카지노와 연동성을 확보해 카지노 이용객들이 기축코인인 스타그램코인을 이용할 경우 환전이 간편해질뿐아니라 수수료도 페이백된다. 필리핀네 오프라인거래소를 확장하고 해외 국가들과 외환거래 등 다각화 된 사업을 진행하는 박스콘의 기축통화코인으로서 스타그램코인의 사용 범위는 더욱 확대돼 가치 상승을 이끌 전망이다. 2019년 1월 박스콘 개설 운영을 앞두고 있는 KMS글로벌 측은 “국제 가상화폐 거래소로서 박스콘의 위상에 걸맞게 안정적이고 편리한 운영에 최선을 다할 것이며 스타그램코인과 함께 글로벌 시장에서 긍정적 시너지를 만들어 갈 것”이라고 밝혔다.
-
스트라티스(Stratis, STRAT), 마이크로소프트와의 파트너십 발표
스트라티스(Stratis, STRAT)는 마이크로소프트 공인 파트너라는 것을 발표하게 되어 기쁩니다. 임무는 기업 고객들 앞에서 C# 블록체인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며, 마이크로소프트가 인증 파트너에게 제공하는 마케팅 및 개발 리소스를 활용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애저(Azure) 마켓플레이스 (Marketplace)는 앱 및 서비스 제공업체가 190개국 120,000명의 엔터프라이즈 고객과 80만 명의 에코시스템 파트너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Microsoft는 고객을 파트너로 안내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파트너에게 Microsoft의 Go-To-Market 서비스에 대한 제품 노출을 증가시킬 수 있는 리소스가 제공됩니다. 100만 명 이상의 활성 사용자가 있는 이 시장은 매달 100,000개 이상의 잠재 고객을 파트너에게 제공합니다(Microsoft ISV 프로그램). 이러한 파트너십은 스트라티스에게 중요하면서도 또한 흥미로운 시기에 이루어지며, 스마트 계약, 사이드체인, 엔터프라이즈 중심 Classis DLT를 포함한 핵심 스트라티스 플랫폼을 구성하는 서비스는 다음 몇 달 내에 출시될 예정입니다.스트라티스 그룹은 이러한 방식으로 마이크로소프트와 제휴한 최초의 블록체인 회사이며, 이 제휴는 마이크로소프트 소프트웨어 환경에서 우리의 고유한 위치를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도와줄 것입니다.우리는 또한 이 단계가 마이크로소프트와의 기존 관계를 강화하는 첫 번째 단계라고 생각하며, 가까운 미래에 골드 파트너가 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 파트너십은 나를 흥분시킵니다. Microsoft의 Go-To-Market 팀과 협력하여 스트라티스 플랫폼과 함께 애저(Azure) 기술 스택을 활용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 크리스 트루 인증은 스트라티스와의 관계를 나타냅니다. NET 프레임워크는 Microsoft에서 개발한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입니다. 스트라티스는 처음부터 C#로 작성된 전체 노드를 가진 최초의 유일한 암호화폐 서비스입니다.즉, 스트라티스 플랫폼을 사용하여 구축된 애플리케이션의 일부입니다.네트워크 에코시스템, 이 파트너십은 스트라티스의 자연스러운 다음 단계입니다. 카카오톡, 텔레그램 그리고 어플을 통해서 코인코드의 다양한 뉴스 소식을 빠르게 받아보세요!코인코드 어플(안드로이드)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kr.coincode.mobileapp코인코드 텔레그램https://t.me/coincodekr (뉴스방)https://t.me/coincodekr2 (채팅방)코인코드 카카오톡(카톡방 암호 : coincode)https://open.kakao.com/o/g5G0u0J (1번방)https://open.kakao.com/o/gXDHnOQ (2번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