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가상화폐거래소협회 "가상화폐 명칭 변경 반대"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텔레그래프(Cointelegraph)에 따르면, 12일(현지 시간) 일본 금융청이 주최한 '제9회 암호화폐 거래소 세미나'에서 ‘가상화폐’를 ‘암호화폐’로 변경하자는 논의가 진행됐다. 미디어에 따르면 다수 전문가가 “일본 ’자금결산법’ 중 ‘가상화폐’가 광범위하게 사용되면서 이용자 혼란을 야기하고 있다”며 “거래소는 이용자 혼란을 방지하기 위해 명칭 관련 충분한 설명을 할 의무가 있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더불어 미디어는 “최근 G20 국제 회의 등 글로벌 추세를 볼 때도 ‘가상화폐’ 보다는 ‘암호화폐’가 보편적으로 쓰이고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와 관련 일본 가상화폐 거래소 측은 “가상화폐가 ‘법정화폐 외의 통화’라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며 “가상화폐 거래소는 '가상화폐' 명칭을 바탕으로 설립됐기 때문에 거래소 명칭을 바꿀 의향이 없다”고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비트파이넥스, BCH 하드포크 체인 분리 대비...CST 방식 채택
홍콩에 본사를 둔 미국계 암호화폐 거래소 비트파이넥스(Bitfinex)가 13일(현지 시간) 공식 사이트를 통해 "오는 15일(현지 시간) BCH의 하드포크에서 BCH가 비트코인캐시ABC와 비트코인캐시SV 두 가지 체인으로 분리될 수 있다는 사실이 더 분명해짐에 따라, 리스크 관리와 건강한 시장 환경 유지를 위해 해당 하드포크에 CST(Chain Split Tokens, 체인 분할 토큰) 방식을 채택하기로 결정했다. 해당 CST는 각각 USD 및 BTC 마켓에 비트코인캐시ABC(BAB)와 비트코인캐시SV(BSV)으로 나뉘어 상장되며, 마진 및 레버리지 서비스는 이용할 수 없다. 또한 사용자는 플랫폼 UI 상단의 '토큰관리' 메뉴를 통해 CST를 생성하거나 없앨 수 있다. 또한 CST는 스냅샷을 통해 가격 연속성을 유지할 예정이며, 포크 후 해당 토큰들의 체인토큰으로 자동 변환된다"고 공지했다.
日 금융청, 암호화폐 지갑 업체 규제 가능성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텔레그래프(Cointelegraph)에 따르면, 지난 12일(현지 시간) 일본 금융청이 주최한 '제9회 암호화폐 거래소 세미나'에 참석한 대다수 업계 관계자 및 전문가들이 "고객들의 자산 보호를 위해서라도, 지갑 업체들의 서비스가 금융 당국이 파악할 수 없는 형태가 되어선 안된다"며 암호화폐 지갑 서비스 업체에 규제를 도입해야한다고 입을 모았다. 그동안 일본 국경 내 지갑 업체들은 암호화폐 관리 및 송금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만 직접적인 거래를 지원하지는 않기 때문에 일본 '자금결제법'의 규제 범위에 벗어난다는 평가가 주를 이뤘다. 그러나 네트워크 공격에 의한 암호화폐 유출 및 돈세탁·테러자금 조달 등에 악용될 수 있는 리스크가 존재해 금융 규제를 도입해야한다는 게 현지 업계의 설명이다.
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
'코인니스 앱 다운받기'
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