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메이커, Dai 안정화 수수료 16.5%로 상향 조정
블록체인 기반 대출 프로젝트 메이커다오(MakerDAO) 측이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Dai의 안정화 수수료율이 16.5%로 상승했다고 밝혔다. 메이커 재단은 지난 4월 22일 커뮤니티를 대상으로 수수료 인상 방안을 투표에 부쳤으며, 그 결과 수수료 '2%' 상향 조정이 가장 많은 표를 받았다. 이에 4월 28일 정식 투표가 진행됐으며, 찬성에 56971.62 MKR이 투표되며 결국 통과됐다. 이번 수수료 상향 조정의 배경은 다음과 같다. 1. Dai의 높은 마켓 메이커 및 프롭 데스크 보유 비중 2. 1달러 이하로 유지되는 Dai 가격, 3. 수수료율 인상의 제한적 영향
▲ 무디스 보고서 "프라이빗 블록체인, 리스크 많아"
세계적인 신용평가회사 무디스가 지난 25일 발표한 보고서를 통해 프라이빗 블록체인 프로젝트 리스크에 대해 경고했다. 보고서는 "프라이빗 블록체인은 탈중앙화된 컨센서스 또는 거버넌스 메커니즘이 부재하다"며 "조작에 노출되기 쉽다"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다수의 기업들이 기회를 놓치지 않기위해 다양한 방식으로 블록체인을 도입하고 시작했고, 이 과정에서 탈중앙화 기반의 비트코인과는 거리가 먼 형태의 블록체인을 만들어졌다"며 "개인, 또는 중앙 집권화된 블록체인은 1개 또는 소수의 당사자들에게 시스템 설계 및 관리 권한이 집중되기 때문에 더 많은 사기 리스크에 노출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프라이빗 블록체인의 주요 리스크로 "거래 상대 집중화, IT 및 운영 리스크, 부적절한 거버넌스 및 규제 리스크 등을 꼽았다.
▲ 前 모건스탠리 트레이더 "테더 악재, 비트코인에는 기회"
암호화폐 미디어 AMB크립토에 따르면, 전 모건스탠리 트레이더이자 암호화폐 애널리스트인 톤 베이스(Ton Vays)가 "비트코인은 전통전인 투자 포트폴리오를 다양화하는 데 가장 좋은 선택"이라며 "반면 알트코인은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진단했다. 그는 이와 관련해 "모든 크립토 자산이 비트코인에 의존하고 있으며, 만약 비트코인이 실패한다면 다른 자산들도 자연스럽게 실패 할 수 밖에 없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한 "알트코인은 보통 강세장에서 빠르게 상승하지만, 하락장에서 더 빨리 하락한다"며 "최종적으로는 비트코인이 더 빠르게 오른다"고 덧붙였다. 그는 또한 최근 불거진 비트파이넥스 사태에 대해 "테더의 약세는 비트코인에게는 기회"라며 "더 많은 사람들이 비트코인을 선택하게 될 것이다. 비트코인 가격이 바닥에 근접해 있는 시점에서 호재가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 中 경제학자 "암호화폐 투자, 거대한 중앙화 리스크 노출"
중국 유명 경제 칼럼니스트 샤오레이가 "앞서 비트파이넥스가 손실을 메우기 위해 테더 준비금 8.5억 달러를 사용한 정황이 포착됐다. 이는 대부분의 투자자가 탈중앙화 자산에 투자했지만, 사실상 거대한 중앙화 리스크에 노출되어 있음을 보여준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비트파이넥스의 성명을 볼 때, 비트파이넥스와 테더의 실제 소유주가 일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두 업체 간 자금이동은 어떠한 제 3자의 감시도 받지 않는다. 또한 비트파이넥스는 거래소 및 투자자들의 자금을 마음대로 움직였음을 부정하지 않고 있다. 비트파이넥스는 어떠한 감시, 어떠한 설명없이도 이용자들의 자산을 움직여왔다는 것이다. 이는 테더 보유자 혹은 거래소 이용자가 자신의 자산이 순식간에 사라질 수 있는 리스크에 노출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이 과정에서 투자자는 아무것도 할 수 없다. 단지 업체의 경영자의 능력 또는 도덕성에 전적으로 의존해야 하는 것이다"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뉴욕 검찰실의 판단에 완전히 동의한다며 "미국 당국이 암호화폐 거래소 분야에 지속적으로 개입하고 조사에 나설 것을 보여준 사례다. SEC 역시 암호화폐 분야의 법률 및 시장 전문가를 영입하고 있다. 다양한 준비들이 이뤄지고 있다. 미국 정부의 관점은 시장을 없애는 것이 아닌, 향후 미국이 잠재력이 큰 새로운 시장을 더 잘 이용할 수 있도록 준비하자는 것이다"라고 평가했다.
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
'코인니스 앱 다운받기'
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