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루도스 프로토콜(Ludos Protocol), 뉴욕 타임스퀘어에 광고를 게재
게임 산업에 내재된 여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우수한 블록체인 인프라를 제공하는 루도스 프로토콜(Ludos Protocol)이 시각 접근성이 뛰어난 뉴욕 타임스퀘어에 광고를 게재한다. 루도스 프로토콜이 전개하는 종합 마케팅 캠페인의 일환이다. 본 마케팅 캠페인의 목적은 루도스의 가치와 더불어 루도스가 게임 생태계에서 이룬 업적을 게이머들에게 알리는데 있다. 눈에 띄는 광고 플랫폼 뉴욕 타임스퀘어의 옥외 광고는 전 세계적으로 유명하다. 그만큼 루도스 프로토콜이 게임에 접목한 블록체인 기술을 게이머 및 개발자들에게 전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노출당 미화 0.4센트인 인기 소셜미디어 광고비에 비해 타임스퀘어 광고비는 5배 가량 높다. 그러나 루도스는 우수한 고객들에게 회사를 알리는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해 투자를 단행했다. 블록체인 게이밍은 게임 공급업계의 지배적 접근법이 될 것이 확실시된다. 게임 공급업체들이 블록체인 게이밍을 통해 누릴 수 있는 혜택은 여러 가지가 있다. 크라우드펀딩이 용이하고, 게임의 인기를 산정하기 쉽다. 사용자들이 주요 게임플레이 요소를 투표로 결정할 수 있기 때문인데, 이는 매출 성장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루도스 프로토콜 생태계의 다양한 기능은 게이머와 개발자의 경험을 개선한다. 그 중에 하나가 초당거래량(TPS)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루도스 프로토콜의 생태계는 게임 공급업체들에게 메인체인과 상호작용을 최소화한 사이드체인(sidechain)을 제공한다. 사이드체인을 사용하면 높은 TPS에서 충돌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높은 TPS와 낮은 충돌은 게이머들이 가장 원하는 바이다. 많은 투자자들 전도유망한 본 블록체인 프로젝트는 소프트뱅크(Softbank)를 비롯한 여러 민간투자자를 유치했다. 소프트뱅크는 역대 3번째 블록체인 투자 대상으로 루도스 프로토콜을 선택했다. 그 외에 DU 캐피탈(DU Capital)을 포함한 유명 후원자들이 루도스 프로토콜을 아낌없이 지원하고 있다. 타이 진(Tai Jin) 루도스 프로토콜 공동설립자는 “중앙화한 게임 모델 아래 루도스는 과거에는 불가능했던 기회와 가치를 창출해 게이머들에게 전달하고 싶다”고 말했다. 이어 “게이머들은 전통 게임의 통화와 자산을 활용해 성취를 확대할 수 있었다”며 “루도스는 게이머들이 생태계 내에서 실행되는 여타 게임은 물론 실생활에 가치를 이전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법을 개발하는데 매진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
퓨마페이, 단순 송금 중심의 기존 암호화 거래를 넘어 정기 구독, 단일 결제, 대신 결제, 공과금 납부 등 일상생활에서의 암호화폐 활용성을 극대화
블록체인 기반의 지불 결제 프로젝트인 퓨마페이는 한국 시장에 본격 진출하기 위해 한국 공식 엠버서더로 체이니어 크리스나 대표를 선임했다고 29일 밝혔다퓨마페이는 한국 앰버서더를 주축으로 국내 사업 확장은 물론 국내 투자자들이 퓨마페이를 더 쉽고 편하게 투자할 수 있도록 국내 거래소 상장 및 공식방 운영에도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크리스나 대표는 “퓨마페이에 대한 장점을 국내 기업들에게 널리 알려 일상생활에서 누구나 편하고 쉽게 암호화폐를 사용할 수 있도록 환경을 구축하는데 앞장서겠다”고 밝혔다.퓨마페이는 블록체인을 통해 모든 거래 및 지불방식을 통합하고 표준화해, 일상에서의 비즈니스 비용과 지출을 획기적으로 줄여주고자 기획된 프로젝트다.퓨마페이는 자체 개발한 풀컨트렉트 프로토콜을 이용한 온라인 결제 플랫폼이다.단순 송금 중심의 기존 암호화 거래를 넘어 정기 구독, 단일 결제, 대신 결제, 공과금 납부 등 일상생활에서의 암호화폐 활용성을 극대화한 것이 특징이다.요아브드로 퓨마페이의 대표는 “한국비즈니스와 얼리어덥터 확장은 물론 투자자들에게도 퓨마페이를 더욱 적극적으로 알리고자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트루USD, 발행 이후 8개월 만에 상장 거래소 50개 달성
미국의 블록체인 기업 트러스트토큰은 올해 3월 발행한 트루USD가 약 9개월 간 상장된 거래소 수가 50개를 돌파했다고 밝혔다. 한 달에 거래소 다섯 군데 이상씩 상장한 셈이다.이같은 성과는 트루USD가 글로벌 기축 통화로 사용될 수 있도록 설립 초부터 컴플라이언스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회계 감사 보고서를 공개해 사용자 보호를 최우선 가치로 둔 전략이 효과적이었던 것으로 풀이된다고 트루USD 측은 설명했다.발행 초부터 미국과 아시아, 유럽 등 전 세계에 위치한 거래소들과 미팅을 갖고, 전략적 활동을 전개한 결과 파트너십 및 거래량 부분에서 견조한 성장세를 보여왔다. 이후 신규 거래소 등으로 자연스럽게 저변 확대가 이루어졌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트루USD 관계자는 지난 해 초까지 테더를 지원했던 대만은행과 웰스파고가 테더와의 관계를 끊으면서 신뢰가 흔들리고 있는 테더와 달리, 트루USD는 꾸준히 신뢰 네트워크를 다지고 있다고 설명했다.“이는 현재의 악화된 시장 상황에도 불구하고 꾸준히 성장할 수 있었던 트루USD의 원동력”이라며, “진정한 블록체인의 가치인 모든 참여자 간의 신뢰 콘셉트에 부합한다”고 트루USD 측은 설명했다.트루USD는 내년 1분기 안에 100군데의 거래소에 상장이라는 공격적인 목표를 제시했다. 최근 트러스트토큰은 국내에서도 다양한 현지 밀착 마케팅을 전개하기 시작했다. 전 세계 암호화폐 거래의 약 20%를 차지하는 한국 시장에서 원화 거래를 통한 거래량 증가가 상당할 것이란 기대 때문이다.트러스트토큰 공동 설립자이자 CEO인 대니 안(Danny An)은 “24일 기준 비트코인 3,500달러선 붕괴된 이후 트루USD의 거래량이 급증하고 있다. 지난 한 달간 거래량이 71% 증가하며 암호화폐 시총 18위로 올랐다. 이는 투자자들이 트루USD를 통해 리스크를 헷징할 수 있기 때문”이라며 “계속해서 전략 파트너십에 집중하여 트루USD 접근성을 높이고 글로벌 채널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포부를 밝혔다.또한 안 대표는 “이번 50번째 거래소 상장이라는 성과를 시작으로 트루USD가 더 많은 글로벌 마켓에서 기축 통화로 쓰이게 될 것”이라고 자신했다.한편 트루USD는 28일 기준 최근 한 달 거래량이 약 1조원을 기록하며 전체 암호화폐 시장에서 시가총액 18위를 차지했다.
-
VX NETWORK, 일본 PLATINUM EGG와 일본 블록체인 게임 시장 공략을 위한 파트너십 체결
VX NETWORK(대표 Michael. c. chung)는 일본 유수의 게임
전문 개발사 PLATINUM EGG(대표 Nariya
Takemura)와 일본 블록체인 게임 시장 공략을 위한 차세대 블록체인 게임 개발 및 마케팅 협력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파트너십의 주된 내용은 게임 서비스시 상호간의
기술적 협업, 시장 정보와 기술 트렌드 교환을 위한 정기적 비즈니스 미팅, 자료 및 기술 정보 제공, 게임간의 콜라보레이션 등이다.
플래티넘 에그는
2002년 도쿄에 설립된 게임 전문 개발사이다. 모바일,
콘솔 플랫폼에서 성검전설 -라이즈 오브 마나-, 샤이닝
포스 네오 등 100여개 이상의 타이틀을 협력업체로써 제작했으며,
2018년부터 블록체인 게임 프로젝트를 본격적으로 시작하여 블록체인 경마 게임인
CryptoDerby(크립토더비)를 연내에 서비스 개시할 예정이다.
VX NETWORK는 2018년 3월
한국 최초의 블록체인 게임 Bitpet(비트펫) 출시 이후로
일본 시장의 인기를 얻고 있으며, 차기작인 풀 3D 블록체인
게임인 BitGolf(비트골프)를 한국과 일본에서 열린 블록체인
미트업에 참가해 소개하며 일본 블록체인 업계와 많은 교류를 했다.
이번 파트너십 체결로 양사가 상대국 사용자들에게
빠른 시간 내에 양질의 게임을 공급해 게임 본연의 재미는 물론, 부가가치를 전달하고 블록체인 게임 시장에서
사용자들에게 영향력을 더 확대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전망이다.
-
아이콘루프, 서울시 블록체인 기반 단위업무 ISP 수립 사업자 선정... "스마트 컨트랙트 활용해 온라인 자격검증 자동화"
아이콘루프(대표 김종협)가 ‘서울시 블록체인 기반 단위업무 정보전략계획(ISP) 수립’ 사업자로 선정됐다.서울시가 발주한 이번 사업은 블록체인을 활용해 공공근로·복지서비스 수급자 등 각종 대상자 선정 시 자격검증을 온라인으로 자동화하여 시민 행정편의를 증대시키고, 근로계약서 미작성·4대 보험 미가입·부당대우 등 시간제 노동자의 열악한 노동환경을 개선하는 데 의의가 있다.아이콘루프는 2018년 11월부터 2019년 2월까지 3개월간 ‘서류 없는 온라인 자격검증 실현’ 등을 위한 단독사업자로서 블록체인 기반 단위업무의 업무현황 및 정보화 현황을 분석하고 단계별 이행계획을 수립할 계획이다. 특히 개인정보보호법·정보통신망법·신용정보법과 관련해 법적 규제사항 및 개정안을 검토하고, 소상공인연합회의 ‘소상공인근로계약서’ 애플리케이션 등 타 기관 서비스와의 연계 추진 방안을 고안할 방침이다.
-
MVL의 라이드헤일링(차량호출) 서비스인 TADA 전용 보험상품이 개발
모빌리티 블록체인 MVL(엠블)과 글로벌 보험사 AXA(악사)가 블록체인을 활용한 차세대 자동차 보험 상품을 개발한다.엠블 파운데이션(MVL Foundation)과 AXA 인슈어런스(AXA Insurance)는 엠블의 라이드헤일링(차량호출) 서비스 TADA(타다) 승객과 운전기사를 위한 자동차 보험 상품 및 서비스 개발을 위한 전략적 협력 체결을 30일 발표했다.AXA는 엠블의 파트너사로서 2019년 초부터 TADA의 승객과 운전기사에게 보험 상품을 제공할 예정이다. TADA는 싱가포르 첫 블록체인을 적용할 라이드헤일링 서비스며 유일한 제로수수료 서비스다. 엠블과 AXA는 기술적 통합을 통해 엠블 블록체인을 활용한 차세대 자동차 보험 상품 및 서비스를 개발할 계획이다.AXA 인슈어런스는 글로벌 보험 및 자산관리 선두기업인 AXA그룹 자회사다.10년 연속 상위 보험브랜드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 62개국에 1억 이상의 고객사를 보유하고 있다. AXA 인슈어런스는 1969년부터 현재까지 싱가포르에 있으며 일반 및 생명보험 서비스를 개인 및 기업에게 제공하고 있다. 싱가포르 국민의 약 3분의 1 이상이 AXA 인슈어런스 고객이다. AXA 인슈어런스는 고객이 더 나은 생활을 통해 더 안전한 사회를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
MVL, 자동차 거래 기록, 주행 기록, 운전습관, 차량 정비 기록, 운전기사에 대한 평가 등 핵심 데이터를 블록체인에 기록
모빌리티 블록체인 MVL(엠블)과 글로벌 보험사 AXA(악사)가 블록체인을 활용한 차세대 자동차 보험 상품을 개발한다.엠블 파운데이션(MVL Foundation)과 AXA 인슈어런스(AXA Insurance)는 엠블의 라이드헤일링(차량호출) 서비스 TADA(타다) 승객과 운전기사를 위한 자동차 보험 상품 및 서비스 개발을 위한 전략적 협력 체결을 30일 발표했다.AXA는 엠블의 파트너사로서 2019년 초부터 TADA의 승객과 운전기사에게 보험 상품을 제공할 예정이다. TADA는 싱가포르 첫 블록체인을 적용할 라이드헤일링 서비스며 유일한 제로수수료 서비스다. 엠블과 AXA는 기술적 통합을 통해 엠블 블록체인을 활용한 차세대 자동차 보험 상품 및 서비스를 개발할 계획이다.MVL(엠블)은 이지식스의 싱가포르 자회사인 MVL Foundation이 개발하는 블록체인에 기반한 새로운 모빌리티 생태계다. 서로 다른 영역에 파편화되어 있던 자동차 거래 기록, 주행 기록, 운전습관, 차량 정비 기록, 운전기사에 대한 평가 등 핵심 데이터를 블록체인에 기록해 생태계 안에서 하나로 연결한다.운전습관이나 차량 기록 데이터를 생성한 사용자, 운전기사 등 데이터 생성자는 물론 좋은 서비스를 제공한 운전기사, 기업, 안전운행을 한 운전자 등 좋은 모빌리티 생태계를 구현하는 참여자들에게는 MVL포인트나 MVL코인의 인센티브를 제공하게 된다.
-
라이즈(LYZE), 암호화폐 거래소 비트소닉으로부터 투자 유치...라이즈-비트소닉 올바른 투자정보 제공
라이즈(LYZE), 암호화폐 거래소 비트소닉으로부터 투자 유치 블록체인 투자정보 분석 플랫폼 라이즈, 비트소닉 거래소 산하 투자기관으로부터 투자유치 라이즈-비트소닉 양사 간 업무협조 통해 올바른 투자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이 목표블록체인 기반 집단지성형 투자정보 분석 솔루션 ‘라이즈(LYZE, 대표: 최재훈)’이 국내 주요 암호화폐 거래소 중 하나인 비트소닉으로부터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 라이즈를 개발하고 있는 ‘라이즈랩스’는 창립멤버 다수가 데이터 분석 및 시스템 설계 전문가로 구성되어 있으며, 여기에 고려대학교 강재우 교수, 주재걸 교수, 예일대학교 한석진 교수, 호주국립대학교 김동우 교수 등 데이터 분석, 경제, 머신러닝 컴퓨팅 학계의 권위자들이 대거 어드바이저로 참여, 라이즈의 투자 분석 프로세스를 더욱 견고히 했다. 라이즈 관계자는 “기존 산업의 투자정보 생성과 소비 과정은 매우 불균형한 동시에 정보의 정확도가 매우 낮은 바, 라이즈는 이를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해결하고자 했다”며, “블록에 기록된 상세정보인 ‘온체인 데이터’를 토대로 한 가장 객관적인 암호화폐 투자 정보를 제공해 올바른 암호화폐 투자 생태계 구축에 기여할 것”이라 전했다. 한편, 라이즈는 12월 내 인터넷 기반의 온체인 데이터 센터 구축을 완료할 계획이며, 유저들과의 접점 확대를 위해 28일(수)까지 암호화폐 커뮤니티 코박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서 에어드롭 이벤트 ‘코박 라이브’를 진행한다.라이즈는 이번 투자유치를 통해 투자 분석 전문 플랫폼으로서 입지를 단단히 하는 동시에 암호화폐 거래소와의 긴밀한 협업관계를 도모했다. 나아가 올바른 투자 정보를 생성 및 제공하여 건전한 거래소 운영에 기여하고, 올바른 투자문화 조성에 앞장설 수 있는 기틀을 마련했다. 라이즈는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일반 사용자 및 데이터 분석가, 금융 도메인 전문가가 협업하여 가장 객관적인 암호화폐 투자정보를 분석 및 생성할 수 있는 플랫폼이다. 특히, 올 초 설립 이래EOS BP(Block Producer) 투표 과정에서의 문제점을 알리고, 퓨어빗 거래소의 ‘먹튀’ 경로를 추적하는 등 뛰어난 자체 분석력으로 업계의 이목을 끌어왔다.
-
이그드라시(YEED), 마이크레딧체인(MCC)에 이어 알파콘, 오는 4일 넥시빗에 상장
이그드라시(YEED), 마이크레딧체인(MCC)에 이어 알파콘, 오는 4일 넥시빗에 상장이그드라시(YEED), 마이크레딧체인(MCC)에 이어 알파콘은 국내 코인 중 넥시빗에 상장하는 3번째 코인이며 헬스케어 코인 중 첫번째다.알파콘은 블록체인 기반 헬스케어 데이터 플랫폼을 지향한다. 알파콘은 다음달 4일 자체 발행하는 암호화폐 알파콘(ALP)을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 ‘넥시빗’에 상장한다고 밝혔다.해외 의료 관광객 유치와 글로벌 비즈니스 확대를 위한 발판도 마련하게 됐다는 설명이다. 이번 상장으로 알파콘의 해외 코인 홀더 확대가 가능해졌다. 넥시빗은 세계 최초 암호화폐 현물과 선물을 동시에 거래가 가능한 채굴형(Mining) 거래소다. 투자자들에게 거래 기여도에 따라 거래소 토큰을 리워드 형식으로 배분한다. 현물, 선물 거래를 함께 제공해 다양한 형태의 거래를 투명하게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암호화폐 및 거래소 정보 사이트 코인힐스에 따르면 넥시빗의 일 거래량은 33,131BTC로 세계 암호화폐 거래소 중 30위에 랭크된 글로벌 거래소다.알파콘은 헬스케어 데이터 플랫폼을 통해 개인에게 최적화된 맞춤형 건강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이 목표다. 알파콘 네트워크 병의원에서 알파콘으로 병원비를 결제할 수 있으며 내년까지 국내 300여개 병원뿐만 아니라 해외 병원에서도 사용 가능하도록 서비스를 구축할 예정이다. 피트니스센터 등 헬스케어 산업 전반으로 알파콘 결제 서비스를 확대할 계획이다.
-
영국의 시린랩스, 블록체인 스마트폰 '피네이(Finney)' 선보였다 ... "콜드스토리지 지갑이 내장된 모바일 장치"
영국의 시린랩스가 블록체인 스마트폰을 선보였다.시린랩스는 30일(현지시각) 블록체인 스마트폰 ‘피네이(Finney)’를 일반 판매한다고 밝혔다.이 제품이 처음 공개된 것은 2017년 10월이다. 시린랩스는 가상통화공개(ICO)를 네차례 진행해 개발비 5700만달러(638억원)를 모금했고, 이 금액을 바탕으로 블록체인 스마트폰을 만들었다. 피네이의 가장 큰 특징은 ‘운영 체제’와 ‘콜드 스토리지 암호화 지갑’이다.운영 체제는 구글 안드로이드 8.1을 개조한 ‘시린OS’다. 시린OS는 가상통화 토큰 변환, 분산 애플리케이션과 고강도 보안 기능을 지원한다. 보안 기능은 블록체인 기반으로 구성돼 위변조를 막으며 통화와 문자, 이메일 전송에 적용된다. 온·오프라인 보안 위협 탐지 및 보호 기능도 갖췄다.콜드 스토리지 암호화 지갑은 평소에는 인터넷에서 분리돼 보안을 지키며, 거래 시 인터넷에 연결된다. 이 때 관련 하드웨어·소프트웨어는 스마트폰 기기와 완전 분리돼 동작한다. 블록체인 암호화 기능도 적용된다. 이 지갑으로 거래할 수 있는 가상통화는 비트코인·이더리움·시린랩스토큰 등 세 가지다.
-
블록체인 기반의 지불 결제 프로토콜 퓨마페이, 한국시장 본격 진출... "블록체인을 통해 모든 거래 및 지불방식을 통합"
블록체인 기반의 지불 결제 프로젝트인 퓨마페이는 한국 시장에 본격 진출하기 위해 한국 공식 엠버서더로 체이니어 크리스나 대표를 선임했다고 29일 밝혔다.퓨마페이는 블록체인을 통해 모든 거래 및 지불방식을 통합하고 표준화해, 일상에서의 비즈니스 비용과 지출을 획기적으로 줄여주고자 기획된 프로젝트다.퓨마페이는 단순 송금 중심의 기존 암호화 거래를 넘어 정기 구독, 단일 결제, 대신 결제, 공과금 납부 등 일상생활에서의 암호화폐 활용성을 극대화한 것이 특징이다.퓨마페이는 국내 기업들과의 파트너십, 얼리어덥터 네트워크 확장 및 결제 프로토콜 도입 등 다양한 사업을 진행해 나갈 예정이다.크리스나 대표는 블록체인 전문 어드바이징 그룹 체이니어와 비즈니스 인텔리전스 전문기업 크리스앤파트너스의 창립자로, 글로벌 네트워크와 오랜 컨설팅 비지니스 경험을 바탕으로 여러 블록체인 프로젝트들의 사업 확장과 개발에 주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
아마존, 블록체인 관련 특허 취득...'닥터 둠' 누리엘 루비니 "스테이블코인, 또 다른 버블의 어머니"
아마존, 블록체인 관련 특허 취득암호화폐 미디어 코인텔레그래프(cointelegraph)에 따르면,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 업체 아마존이 미국특허청(USPTO)에 출원한 2개의 특허가 13일(현지시간) 공개됐다. 아마존이 취득한 해당 특허는 '디지털 서명 보호', '분산식 데이터 저장소 개선' 등 블록체인과 연관된 것으로 나타났다. '닥터 둠' 누리엘 루비니 "스테이블코인, 또 다른 버블의 어머니"대표적인 비트코인 회의론자 '닥터 둠' 누리엘 루비니(Nouriel Roubini)가 본인의 트위터를 통해 "스테이블코인은 또 다른 버블의 어머니"라고 전했다. 이와 관련해 그는 "지금까지 약 120개의 스테이블코인이 발행됐다"며 "해당 코인들을 '안정적(Stable)'이라고 부르는 것이 웃기다. 대다수의 코인이 파산할 것이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그는 "가치를 '평가절하 통화' 혹은 '레거시 은행 시스템(legacy banking system)'에 두고 있는 코인 투자에 유의해야 한다"고 덧붙였다.라이파이젠은행, 블록체인 기반 은행 담보 대출 플랫폼 출시암호화폐 미디어 코인텔레그래프(cointelegraph)에 따르면, 체코 라이파이젠은행(Raiffeisen bank)이 러시아 국영 석유회사 가즈프롬네프트(Gazprom Neft)와 파트너십을 체결, 블록체인을 기반 은행 담보 대출 플랫폼을 출시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미디어에 따르면, 해당 플랫폼의 시스템 개발에는 가즈프롬네프트, 라이파이젠은행, 석유 정제업체 마지르(Mozyr) 및 라이파이젠 계열사 프라이어은행(Priorbank) 등이 참여하며, 그중 라이파이젠은행은 자문을, 프라이어은행은 은행 담보 대출을 제공한다.의료 블록체인 회사 솔브케어 "의료 분야, 블록체인 도입 시작됐다"포브스에 따르면, 의료 관련 블록체인 회사 솔브케어(Solve.care)의 프라딥 고엘(Pradeep Goel) 대표는 최근 "만약 투자수익률(ROI)을 명확하게 제시할 수 있다면, 의료 분야는 블록체인 기술을 도입할 준비를 모두 마친 상태"라고 전했다. 이와 관련해 그는 "의료 분야에 언제 블록체인을 도입할 것인지가 문제가 아니다. 이미 사용되고 있다"며 "문제는 명확한 프레임워크를 갖추게 되면, 블록체인 이용 사례가 쇄도하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BTC 라이트닝 네트워크 노드 4,000개 돌파
BCH 포크 토큰 BSV, 中 거래소 MXC서 한때 300% 급등15일(현지 시간) 하드포크를 앞둔 BCH의 비트코인SV 진영 주도 소프트포크 토큰 BSV가 중국계 암호화폐 거래소 MXC에서 한때 300% 상승한 264.39 달러를 기록한 후 현재 전날(24시간 전) 대비 125.15% 오른 197.62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최근 BCH 주요 커뮤니티 비트코인ABC, 비트코인SV는 15일 하드포크를 앞두고 합의점을 찾지 못한채 '해시율 전쟁' 양상을 지속하고 있다.홍콩 핀테크 위원회 주석 "중국과 달리 홍콩은 암호화폐에 적합한 시장"천자하오 홍콩 핀테크 위원회 주석이 14일 현지 미디어와의 인터뷰에서 "최근 홍콩 증권 감독 위원회(증감회)가 암호화폐에 대한 법적 규제 장치를 마련한게 적절한 조치"라며 "중국 대륙의 경우 블록체인이 가져올 충격을 피해갈 방안을 찾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그는 "홍콩은 블록체인 발전과 관련해 2개의 강점이 있다"며 "첫째. 홍콩은 세계 제2의 경제 대국인 중국과 해외 경제권을 연결하는 중요한 관문이다. 둘째. 홍콩은 일관적으로 개방 정책을 펼쳐왔으며, 외환 규제도 존재하지 않는다"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한 "낮은 세율, 중국영어 혼용 등 환경을 생각할때 가상화폐와 전통경제가 어우러질 수 있는 최상의 플랫폼"이라고 부연했다. BTC 라이트닝 네트워크 노드 4,000개 돌파암호화폐 미디어 비트코이니스트(Bitcoinist)가 비트코인 라이트닝 네트워크(LN)의 노드 수가 처음으로 4,000개에 넘어섰다고 보도했다. 해당 기사 작성 시점 기준 노드는 총 4,026개로, 이중 퍼블릭 노드는 2,910개로 나타났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나이지리아 상업은행, 블록체인 기반 상품 거래 및 금융 플랫폼 출시
나이지리아 상업은행, 블록체인 기반 상품 거래 및 금융 플랫폼 출시나이지리아 현지 미디어 The Nation Nigeria에 따르면, 나이지리아 상업은행 스털링 은행(Sterling Bank)이 13일(현지 시간) 엔드 투 엔드 블록체인 기반 상품 거래 및 금융 플랫폼을 출시했다. 해당 플랫폼은 블록체인 거래 플랫폼 Binkabi와 나이지리아 상품 거래소 AFEX Commodities Exchange와 공동으로 개발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를 통해 현지 나이지리아 및 개발도상국의 농산품 거래를 탈중앙화하여 중개무역을 축소하고 이윤을 합리적으로 분배한다는 게 스털링 측의 설명이다.비트페이, BCH 하드포크 지원...BCH 결제 일시 중단암호화폐 결제 대행 서비스업체 비트페이(Bitpay)가 공식 사이트를 통해 오는 15일 BCH 하드포크를 지원하기 위해 BCH 결제 서비스를 일시 중단할 예정이라고 공지했다. 앞서 비트페이는 BCH 하드포크를 둘러싼 양대 진영(비트코인ABC, 비트코인SV) 중 비트코인ABC의 소프트웨어를 사용한 하드포크만을 지원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모빌리티 블록체인 프로젝트 엠블, 오미세고와 MOU 체결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크립토브리핑(cryptobriefing)에 따르면, 모빌리티 블록체인 엠블(MVL)의 개발사 엠블 파운데이션이 14일(현지 시간) 오미세고(OMG, 시가총액 23위)와 PoC(Proof-of-Concept·개념증명) 관련 업무협약(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PoC를 통해 MVL은 싱가포르 라이드 헤일링 서비스인 TADA(타다)의 데이터 기록과 결제를 위한 OMG 네트워크(OMG Network) 활용을 위한 검증을 진행한다는 설명이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에이치닥테크놀리지, 스위스 금융시장감독기관 '핀마'(FINMA)의 승인
에이치닥테크놀리지, 스위스 금융시장감독기관 '핀마'(FINMA)의 승인에이치닥테크놀리지의 암호화폐 에이치닥이 스위스 금융시장감독기관 '핀마'(FINMA)의 승인을 받았다. 에이치닥은 정대선 현대 BS&C 대표가 설립한 암호화폐다. '에이치닥'은 사물인터넷(IoT), 사물간통신(M2M)에 특화된 암호화폐로 지난 3월 심의절차를 시작해 8개월만에 승인을 받았다. 에이치닥테크놀로지는 "앞으로 암호화폐 거래사이트를 상장하고, 디앱(DApp) 파트너 발굴 등을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지난 9월 출범한 KISIA 블록체인전문위원회는 최근 블록체인 산업의 성장과 발전을 가로막고 국가 경쟁력을 위협하는 보안사고 예방과 신종 해킹 기술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대안을 모색하고자 행사를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28일 에이치닥테크놀로지는 홈페이지를 통해 "지난달 22일 '노 액션 레터'(No Action Letter)를 수령했다고 전했다. '에이치닥'에 대한 핀마의 조사절차가 모두 마무리됐다"고 밝혔다. '에이치닥'이 스위스 금융기관으로부터 인정을 받았다고 볼 수 있다.스위스 핀마는 암호화폐 프로젝트의 인수판매방법, 사용기술, 고객실명인증(KYC), 자금세탁방지(AML) 등을 심사해 업체의 스캠(사기) 여부를 조사한다. 이후 프로젝트가 더이상 시정할 부분이 없으면 '노 액션 레터'를 발급해 프로젝트가 스캠이 아님을 인증한다.
-
비탈릭 부테린 "지금은 '폭군'의 블록체인 장악 시도에 대항할 때"
비탈릭 부테린 "지금은 '폭군'의 블록체인 장악 시도에 대항할 때"이더리움 창시자 비탈릭 부테린(Vitalik Buterin)이 본인의 트위터를 통해 "(블록체인을 장악하려는) 폭군이나 미치광이에게 대항하기 가장 좋은 시기는 1년 전이었으며, 두 번째는 지금"이라며 중국 암호화폐 채굴업체 비아BTC(ViaBTC)가 다가오는 BCH 하드 포크에서 크레이그 라이트의 진영인 비트코인 SV를 지지해달라는 요청을 거절한 트위터를 리트윗했다.비트플라이어 "BCH 하드포크로 BCH/BTC 거래 중단 가능성 有"일본 암호화폐 거래소 비트플라이어(BitFlyer)가 공식 트위터 계정을 통해 "BCH 하드포크의 영향으로 플랫폼 내 BCH/BTC 거래가 중단 될 수 있으며, 체인이 분리될 경우 BCH 심볼이 BCH ABC를 지칭하게 될 계획이나 하드포크의 상황에 따라 바뀔 수 있다"고 밝혔다. 비트플라이어는 오는 15일 밤 10시 다가오는 하드포크에 대비해 BCH 이체를 일시 중단한다고 공지한 바 있다.中 미디어 "비트메인 신장 지역에 채굴기 9만대 설치는 루머"중국 현지 미디어가 오늘 한 업계인사를 인용해 "비트메인이 BCH 하드포크 경쟁을 위해 신장 지역에 9만대의 채굴기를 설치했다는 사실은 루머"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그는 "비트메인은 이번 경쟁에 BTC 채굴풀의 해시 파워를 동원할 예정"이라며 "이로 인한 BTC 채굴풀 참가자들의 피해가 예상된다"고 지적했다. 코인니스를 비롯한 국내외 미디어들은 비트메인이 9만대의 채굴 장비를 신장 지역에 설치할 계획이라고 보도한 바 있다. 이에 코인니스가 해당 소식을 폭로한 업계 관계자에게 팩트체크를 문의한 결과, 비트메인 내부 인사라는 답이 돌아왔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TEMCO(템코), 아트투게더와 파트너십
비트코인(RSK) 기반의 서플라이 체인 데이터 플랫폼 템코(TEMCO) (대표 윤재섭)와 미술품 투자의 대중화를 선언한 세계 최초 미술품 크라우드펀딩 플랫폼인 아트투게더가 비트코인 스마트컨트랙 기술을 접목한 블록체인 기반의 미술품 투자 및 유통관리 플랫폼을 구축하겠다고 지난 28일 밝혔다.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템코는 서플라이체인 블록체인 기술을 아트투게더에 제공하며 미술품의 구매부터 운송, 보관, 소유권 이전 등 전체 유통 과정을 투명하게 관리하고 공개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아트투게더는 템코의 기술을 통해 미술품 크라우드펀딩에 참여하는 투자자들이 예술 작품의 정보를 더욱 투명하게 알 수 있도록 하여 미술품 대중화를 가속화하고 블록체인을 통한 거래 플랫폼을 제공하여 기업가치 제고를 이끌어낼 전망이다. 템코의 공동창업자인 윤재섭 CEO는 “템코의 비트코인 기반의 서플라이체인 블록체인 기술이 이번 협약을 통해 미술품의 진위 여부, 유통 이력, 투명한 거래 환경을 구축하는 역할까지 맡을 것으로 보인다”며 포부를 밝혔다. 또한, “분산 저장이 특징인 블록체인은 특정 데이터가 담긴 블록을 연결하여 비트코인 네트워크 상에서 연결된 모든 노드(Node)가 동일한 데이터를 검증하고 공유한다”며 “사실상 정보의 위·변조 및 해킹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미술품 등 고가의 제품 이력 추적에 적합하다.”는 설명을 덧붙였다. 아트투게더의 이상준 대표는 “미술품 크라우드펀딩 플랫폼 ‘아트투게더’를 런칭한지 이제 한 달이 됐다”며 “어떻게 미술품을 투명하게 추적·관리를 하여 투자자에게 공유할지 내부에서 지속적인 해결책을 찾고 있던 와중에 템코의 퍼블릭 비트코인 기반 블록체인에 대해 알게 되어 기쁘다”고 소감을 밝혔다. 그는 퍼블릭 블록체인의 가치에 대해서 “네트워크 상의 모든 사용자가 데이터를 투명하게 공유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며 “이는 고가의 미술품을 많은 사람들이 공동으로 소유하는, 진정한 예술 대중화 시대를 열겠다는 아트투게더와 맥이 닿아 있다”고 금번 파트너십을 결정한 이유를 전했다. 아트투게더와 템코는 미술작품의 투명한 거래구조 확립을 통해 고액자산가의 전유물로 여겨지는 미술품의 대중화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아트투게더는 세계 최초로 미술품을 전문으로 하는 크라우드펀딩 플랫폼으로 지난 10월 29일 공식 오픈했다. 크라우드펀딩 형태로 자금을 모아 작품의 지분을 모두 공동구매자에게 양도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작품은 서울 역삼동의 전시공간에서 감상할 수 있으며, 일정 금액 이상을 구입하는 사람들에게는 미술 관련 행사 참석권 등의 리워드도 제공한다. 향후 매각해 얻는 수익은 공동구매자에게 분배된다. 이러한 아트투게더와 기술 협약을 맺은 템코는 세계 최초로 비트코인을 기반으로 한 서플라이체인 데이터 플랫폼을 제공한다. 특히, 기존의 단절된 공급망을 하나로 연결하여 데이터를 블록체인에 업로딩 하고 이 데이터를 좀 더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돕는 분석 툴인 BI(Business Intelligence) 툴을 기업들에게 제공한다. 아울러, 유통 과정을 투명하게 볼 수 있도록 소비자를 위한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한다.
-
블록체인 기반 인공지능 프로젝트 ‘MIND AI’, "단순한 딥러닝 아니야... 자연 언어를 통한 추상적인 추론과 실시간 자동 학습 가능"
블록체인 기반 인공지능(AI) 프로젝트인 MIND AI(마인드에이아이)가 원화로 입출금이 가능한 암호화폐 거래소인 비트소닉(Bitsonic)에서 오는 12월 9일까지 프라이빗세일을 진행한다고 밝혔다.쉽게 말해 대용랑 데이터가 필요하지 않은 완전히 새로운 구조를 만든 것이다. 여태까지의 인공지능은 '딥러닝'이라는 단어로 표현할 수 있다. 그러나 MIND AI는 이것보다 더 진화한 자연 언어를 통한 추상적인 추론과 실시간 자동 학습 및 일반화 등 더 강하고 혁신적으로 진보를 추구하고 있다. 또한, 인간의 방식으로 생각하지 못하는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하고 새로운 모델, 방법들을 만들어내기 위해 전 영역에 걸쳐 일반화 적용을 할 수 있다. MIND AI 이정환 대표는 “인공지능 제2의 물결까지 이뤄진 지금. 이제는 제3의 물결 시대가 도래하고 있다”며 “제3의 물결에서는 도덕과 윤리성이 필요하다. 인공지능이 가진 힘을 정말 인류를 위해서 사용하고, 더욱 필요한 곳에 널리 쓰이기 위해 이번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이 대표는 "MIND AI는 현재 국내보다 해외에서 더 알려진 프로젝트”라며 “이번 비트소닉의 프라이빗세일을 시작으로 국내 마케팅을 더욱 강화하겠다”고 전했다.